▲ 최태원 회장의 첫 공판 당시 모습. 임준선 기자 |
먼저 최 회장은 지난해 말 SK그룹 최고의사결정기구이자 그룹 운영체계 핵심인 수펙스협의회 의장직에서 물러나며 그룹회장직과 총수 권한을 포기했다. 최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그룹회장이 아닌 ‘전략적 대주주’로서 “성장동력 발굴의 서포터 역할을 담당”할 것임을 밝혔다. 그럼에도 그룹에서 최 회장의 권한은 아직 절대적이다.
최 회장은 그룹 지주회사인 SK(주)와 핵심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의 회장직은 유지한다. 그룹 오너 역시 최태원 회장이다. SK그룹 측도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SK그룹 관계자는 “물론 최 회장께서 회장으로 있는 3개사에 대한 결정과 책임은 지지만 다른 계열사는 각자 경영과 책임을 지는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최근 박영호 부회장을 SK차이나 총재자리에서 내린 일은 최 회장의 인사권의 건재함과 중국 올인 전략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 2010년 7월 출범한 SK차이나는 SK그룹의 중국사업을 총괄하는 핵심계열사 중 하나다. 2010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SK그룹 계열사 CEO 세미나에서 중국사업이 지지부진하다는 보고를 받은 최 회장이 “10년 뒤에도 같은 말을 할 것이냐”고 호통을 친 이후 설립한 회사다.
중국시장 진출에 적극적인 한 대기업 관계자는 “총책임자나 임원 등 고위 인사에 현지인을 기용해봤지만 큰 소득은 없었다”며 “중국은 워낙 문화가 다양하고 배타적인 데다 규제가 심하고 일부 기업을 빼곤 한국기업에 큰 관심도 없어 힘들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대기업 관계자는 “그들의 정서와 문화를 습득하고 그것을 경영기법에 적용하는 데는 도움이 된다”면서도 “하지만 현지인을 고용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현지에 적합한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회장이 지지부진한 중국사업에서 이제는 뭔가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감이 큰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지난해 2월 하이닉스를 인수하기 전까지만 해도 SK는 ‘통신과 에너지’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해왔다. 그러나 SK를 대표하는 이 두 사업은 내수·규제사업인 탓에 해외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지금껏 SK 관계자들 역시 “규제가 너무 심해 사업하기 힘들다”고 호소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이는 누구보다 최 회장이 가장 잘 알고 있을 것”이라는 게 경제 전문가들 얘기다.
이러한 최 회장의 신년 행보와 관련해 재계 관계자는 “최 회장이 성과를 보이고 싶은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회사돈 횡령 혐의로 징역 4년을 구형받은 최 회장은 오는 1월 말 1심선고가 예정돼 있다. SK그룹 관계자는 “없었던 걸 급히 만든 거라면 ‘재판용’이라는 비판이 가능하겠지만, 이미 10년 전부터 준비하고 실천해오던 시스템”이라며 “1심선고를 앞두고 한다는 비판은 억울하다”고 반박했다.
임형도 기자 hdlim@ilyo.co.kr
비오너 그룹대표 같지만 회장 직함 사용 불가
임형도 기자 hdlim@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