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건물 전경. 이종현 기자
쌍용건설 대주주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이미) 2008년 3월 공적자금을 100% 회수했다”며 쌍용건설에서 손을 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비난을 샀다. 이에 캠코 관계자는 “손을 떼기 힘들다”며 “쌍용건설 정상화를 위해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으며 최선을 다해 지원방안을 찾아보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며 현물 반환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쌍용건설의 위기는 지난해부터 가시화했다. 이 때문에 대주주인 캠코가 매각 시기를 놓쳐 위기를 초래했다는 책임론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캠코 측은 매각 지연에 따른 손실을 지적하는 것에 대해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2008년 초 대비 대부분 건설사 주가가 70% 하락했다는 점을 들며 “건설업 호황 시절 주가와 단순 비교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 캠코 측은 누누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와 ‘주가가 지나치게 하락한 점’을 들며 매각 시기를 저울질해왔다. 이제 와서 공적자금을 100% 회수했으며 주가의 단순 비교를 억울해 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캠코 관계자는 뚜렷한 해명을 내놓지 못했다.
한편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의 서울 이태원 자택이 대한주택보증을 채권자로 지난해 9월 가압류된 사실을 <일요신문>이 처음 확인했다. 청구금액은 59억 6472만 9765원. 쌍용건설 측은 “모두 회사에 쏟아 부은 것”이라며 “최고경영자가 사재를 털어 넣고 임직원들이 임금을 반납하는 등 회사 정상화를 위해 힘써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매각이 불발된 것에 대해 쌍용건설 측도 자유로울 수 없다. 쌍용건설 우리사주조합의 우선매수청구권이 매각에 걸림돌로 작용한 것도 사실인 까닭에서다. 뒤늦게 우선매수청구권을 포기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사정이 이미 극도로 악화된 뒤였다.
임형도 기자 hdlim@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