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를 교두보로 한 중동 아프리카 진출 노력은 박근혜 정부에서도 계속됐다. 추경호 기재부 1차관이 올 4월 ‘중동·북아프리카 컨퍼런스’에 참석해 “창조경제 정신을 바탕으로 중동·북아프리카 국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경제협력을 추진하겠다”며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다시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 이집트 군부가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을 축출한데 이어 이집트 상황이 유혈 사태로까지 확산되면서 경제 협력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이집트 사태를 보여 가슴앓이를 하는 것은 산업부도 마찬가지다. 산업부는 올해 5월 이집트 전력에너지부와 ‘한국-이집트 원전협력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집트에 대한 원전 수출 포석 차원에서 원전 인력 양성과 기술 교류 등에 대해 협력키로 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당시 무함마드 무르시 정부가 전력난 해소의 방안으로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어서 1∼2년 내에 입찰공고를 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며 “그러나 무르시 대통령이 축출되고 이집트 정국이 혼돈 속에 빠지면서 한-이집트 간 원전협력은 물 건너가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준겸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