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당초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보유하고 있는 우리은행 지분 57% 중 33%를 일괄매각하거나 국민주 방식을 택할 것으로 예상됐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명분도 얻을 수 있고 우리은행을 한 지배주주에 경영권과 함께 매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래 전부터 금융업계에서는 일괄매각 방식은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해왔다. 인수하려면 3조~4조 원이 필요한 데다 특혜 시비가 불거질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우리금융 민영화가 여러 차례 실패한 데도 일괄 인수에 따른 인수 희망자들의 부담이 크게 작용했다.
지분 분산 매각 방식은 일괄 매각 방식보다 공적자금 회수율은 떨어지나 매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그러나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일부에서는 경영권을 가질 수 없는데 인수 희망자가 과연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있다. 은행업 진출을 모색하며 우리은행 인수에 뜻을 보였던 교보생명은 인수전 참여를 포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에서는 우리은행 매각이 또 다시 물 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회의적인 시선도 나오고 있다.
임형도 기자 hdlim@ilyo.co.kr
-
특혜 채용 있었나? 김용현 전 장관 이수페타시스 근무 이력 주목
온라인 기사 ( 2024.12.11 14:12 )
-
매각대금으로 활로 찾을까…금호건설의 아시아나항공 처분 시점 주목 까닭
온라인 기사 ( 2024.12.10 16:18 )
-
비상계엄 불똥, 부동산에도 옮겨붙나…장기 침체 전망에 무게 실리는 까닭
온라인 기사 ( 2024.12.06 16: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