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김붕년 교수
병원측에 따르면 연구팀은 ADHD 아동 180명(비교군)과 일반아동 438명(대조군)을 대상으로 소변검사를 한 후, 요(尿)중 프탈레이트 농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프탈레이트 대사 물질인 MEHP(비교군 48.18μg/g, 대조군 25.3 μg/g), MEOP(비교군 43.99μg/g, 대조군 20.53μg/g), MBP(비교군 65.96μg/g, 대조군 50.86μg/g) 모두 비교군에서 더 높게 검출됐다.
프탈레이트는 ADHD 증상의 심한 정도와 유형에도 영향을 미쳤다.
프탈레이트의 일종인 DBP의 검출 농도가 10배 높을수록 아이들의 행동장애수치(DBDS)는 7.5배 높게 나타났다.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성향이 높았다.
ADHD는 A군: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장애, B군: 주의력결핍, C군: 과잉행동장애 등 3가지로 나뉘는데, A군과 C군에서 DBP가 높게 검출됐다. 이는 프탈레이트가 ADHD의 충동조절문제와 공격성 악화에 관여함을 보여주는 결과라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이어 연구팀은 ADHD 아동 115명을 대상으로 MRI를 촬영한 후 뇌피질 두께와 프탈레이트 농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프탈레이트 대사물인 DEHP가 높은 아동일수록 우전두엽과 측두엽의 피질 두께가 더 얇게 나타나는 발달지연 소견을 보였다.
우전두엽과 측두엽은 공격성, 과잉행동, 불복종, 짜증, 비행과 같이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상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ADHD 환자에서의 프탈레이트 노출은 ADHD에 부가되는 추가적 공격적 행동문제를 악화시키는 기전으로 뇌 발달의 이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김붕년 교수는 “이 연구는 아이들에게 광범위하게 노출되는 프탈레이트 물질이 아이들의 뇌 발달, 특히 공격성 문제와 연관된 측두엽 부위의 발달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세계 최초의 뇌 영상 실증연구”이라 며 “향후 공격성 품행장애를 보이는 아이들, 공격성을 보이는 우울.불안증 아이들을 대상으로도 추가적인 뇌 영상 연구를 진행할 예정”고 말했다.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알려진 프탈레이트는 냄새와 색이 없는 액체기름으로 화장품, 어린이용 장난감, 주방 및 화장실의 세제, 방과 거실의 바닥재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 동안 프탈레이트의 유해성에 대해 많은 보고가 있었지만 아이들의 ADHD 증상악화와 두뇌발달에 대한 실증적 영향을 뇌영상연구를 통해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창식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