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전 대통령의 사법처리 수위를 놓고 검찰 수사팀이 ‘구속’ 쪽에 방점을 찍고 있는 반면 검찰 수뇌부는 국가 신인도 추락과 정치적 역풍 등을 감안해 신중론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수뇌부의 신중론 배경에는 임 총장의 고뇌도 어느 정도 투영돼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임 총장은 참여정부 말기인 2007년 11월 정상명 전 총장의 후임으로 검찰 총수 자리에 올랐다. 당시 노 전 대통령과 여권 핵심부는 ‘임채진 카드’를 달가워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임 총장이 법무부 검찰국장과 서울중앙지검장 재직 시절 검찰 개혁과 경찰의 수사권 독립, 대검 중앙수사부 폐지 등 검찰 개혁론에 소극적인 입장을 견지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일부 청와대 실세들은 임 총장의 강성 이미지가 노 전 대통령이 퇴임한 후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감도 감추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내부에서 공안통인 안영욱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을 총장 후보 1순위로 거론했던 것도 이러한 우려감과 맞물려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유력한 후보였던 안 지검장이 사법연수원 시절 방위병으로 근무했던 사실이 공개되면서 임명권자인 노 전 대통령이 ‘안영욱 카드’를 접었다는 후문이다.
호남 출신인 정진호 당시 법무부 차관도 하마평에 올랐으나 대선 후보였던 이해찬 전 총리와의 친분이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노 전 대통령과 참여정부 입장에서 ‘임채진 카드’는 결코 최선의 선택이 아니었음을 뒷받침하는 정황들이다.
전후 사정이야 어찌 됐든 노 전 대통령은 임 총장을 선택했고, 임 총장은 퇴임 후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두하는 노 전 대통령의 모습을 지켜봐야 하는 묘한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초읽기에 돌입한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처리 수위를 놓고 검찰 총수로서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하는 얄궂은 처지에 놓여 있다.
수사팀의 ‘구속’ 강경론과 수뇌부의 ‘신중론’ 사이에서 임 총장이 자신의 임명권자인 노 전 대통령의 사법처리 수위를 어떻게 결정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홍성철 기자 anderia10@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