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복합화력발전소 조감도>
지하에는 발전설비가 들어서고, 지상에는 공원과 복합문화공간이 조성되는 이번 사업이 완공되면 발전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보인다.
서울화력은 1930년에 당인리발전소 1호기가 발전을 시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발전소로 1935년 2호기, 한국전쟁 후인 1956년에 3호기, 1969년에는 5호기, 1971년에는 4호기를 각각 준공했다. 1~3호기가 폐지되고 1993년 청정연료인 천연가스 연소방식으로 전환이후 각종 환경설비 등이 보강되고, 서울시 일원에 안정적으로 전력 및 지역난방열 공급을 수행해 왔다.
국가중요시설 비상전력 공급과 수도권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하여 2006년 제3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된 후 이해관계자간 많은 갈등으로 차질이 빚었으나, 끊임없는 소통과 양보, 이해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한 가운데 지난 2013년 성공적으로 착공했다.
서울복합화력발전소는 지하 35M까지 파내는 굴착공사, 기초 콘크리트 타설 및 지하 연속벽 설치, HRSG(배열회수 보일러) 설치가 완료되고, 현재는 외벽구조물 및 철골설치, Steam Turbine 및 Gas Turbine 설치가 한창이다.
주요 기자재는 아라뱃길을 이용하여 선박으로 운송되며 현장의 타워크레인은 쉼 없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전체 공정률의 70%가 진행된 발전소 건설은 오는 2019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현재 공정률 70%. 2019년 완공 예정>
-지하발전소에 대한 안전성은?
도심한복판, 그리고 지하에 대용량의 발전소를 짓는 것은 유래 없는 사업이다.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이 지하발전소 건설에 다른 목소리를 낸 것도 지하발전소의 안전성 때문이다.
이러한 반대의견을 찬성으로 돌아서게 한 것은 안전성에 대한 주민의 감시와 참여를 확대하고, 발전소 설계부터 시공까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서울건설본부의 노력이 수반됐다.
또한 화력발전소 안전성 검증단계를 3단계에서 6단계로 확대하고,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안전성 검증협의체를 통한 사업의 투명성을 높였다.
설비 운영측면에서 서울복합은 청정연료인 천연가스를 사용하여 미세먼지 발생을 없애고, 지하에 별도의 가스저장시설 없이 일반가정과 같이 가스기지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는다.
지하에는 강제 환기시스템이 24시간 가동되고, 가스 및 화재감지기가 집중 배치되며, 가스 누출로 인한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Seamless 배관, 용접이음, 전기방폭 설계 등이 적용된다. 내진설계도 강화하여 기존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과 유사한 리히터규모 6.4로 설계됐다.
요즘 한창 이슈가 되고 있는 타워크레인 사고 예방을 위하여 2015~2016년도에 생산된 최신 타워크레인을 투입하여 건설 작업자의 안전도 고려했다.
-발전소 완공에 따른 주민들에게 시너지 효과가 있다면?
지하에 발전소가 완공된 후 지상은 기존 발전소에서 180도 달라진 모습으로 변신한다.
서울화력 4,5호기는 철거하지 않고 문화체육관광부 주관으로 세계적인 미술관인 영국의 테이트모던과 같은 문화예술공간으로 탈바꿈한다. ‘문화창작발전소’로 불리게 될 이 공간은 미술관, 전시관, 공연장 등으로 조성되어 시민, 관광객 및 예술인들에게 개방된다.
또한 발전소 부지의 약 74%는 지상공원으로 조성된다. 홍대에서부터 한강수변공원까지 연계된 공원을 조성하여 주민과 관광객에게는 여가공간을 제공하고, 한강조망권 확보로 지역의 부가가치 상승에도 기여한다.
산업시설의 재생, 문화예술 및 여가 공간 제공을 통해 서울의 랜드 마크로서 세계적명소로 자리 메김 할 전망이다.
-세계 최초로 도심 한복판에 대용량 지하발전소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어떤 계기와 어디에 중점을 둔 것인지?
지난 2010년 2월 서울복합건설 공사관리팀장을 맡으면서 서울건설본부와 인연을 맺었다. 그리고 2013년 4월 서울복합화력 건설소장으로 부임해 현장을 진두지휘하다 작년 2월부터 서울건설본부장을 맡게 되면서 우리나라 근현대 경제성장과 함께한 서울화력발전소의 오랜 역사를 이어가고, 신규발전소 건설을 통해 수도권의 안정적 전력공급에 앞장서서 미래의 새로운 역사를 써나갈 계획이다.
-친환경 에너지 문화 복합발전소 건설에 어려움이 있었다면?
건설공사 진행상 가장 어려운 점은 공사장이 도심 한복판이라 끝없이 이어지는 안전에 대한 우려와 민원에 인내와 슬기로 이해시키고 협력을 구하는 것이다. 지하굴착 토사운반을 한강 아라뱃길을 이용하여 수상운반하고, 공사소음과 비산먼지 방지설비를 설치하여 주민에게 환경피해가 없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좁은 부지를 이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다보니 자재보관 및 운반, 그리고 여러 공정 간의 조율에도 애로사항이 많았다. 서울건설본부 전 직원이 머리를 맞댄 덕분에 수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서울화력발전소가 완공되면 ‘발전 산업’ 기록에 한 획을 긋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건설본부는 발전 산업에서 ‘최초’라는 기록을 많이 가지고 있다. ‘국내 최초의 화력발전소’,‘국내 최초 열병합 발전’, 거기에 더불어 ‘국내 최장 무재해 사업장’ 기록도 가지고 있고, 여기에 ‘세계 최초 도심 대용량 지하발전소’라는 새로운 기록을 써가고 있다.
또, 발전소 준공 이후 지상공원과 문화창작발전소까지 들어서게 되면 서울복합화력발전소는 기존의 상식을 뒤집는 역사와 문화예술이 함께 살아 숨 쉬는 에너지 복합공간으로 탈바꿈하여 서울시민이 즐겨 찾는 서울의 랜드 마크로 탈바꿈한다.
-하고 싶은 말은?
서울화력발전소가 역사와 긍지를 간직한 채 세계 최초의 대용량 지하발전소라는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날 수 있도록 우리가 가진 모든 역량을 결집시켜 나가겠다. 더불어 서울의 유일한 발전소로서 지역민과 함께 하는 친근한 이웃과 같은 에너지 파크가 될 것을 약속한다. 앞으로 많은 관심과 애정을 부탁한다.
ilyo7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