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미 1차 이양
[내포=일요신문] 육심무 기자 =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지난해 개발한 ‘빠르미’로 국내 벼 품종 가운데 처음으로 이기작에 성공했다.
또 빠르미의 움벼(수확으로 베어낸 그루에서 새싹이 돋아 자란 벼) 재배 가능성도 확인했다.
도 농업기술원은 23일 예산에 위치한 기술원 내 답작시험포장에서 빠르미 수확 작업을 갖고 이기작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빠르미는 도 농기원이 지난 2009년부터 국내·외 조생종 품종을 교배해 개발한 극조생종으로, 우리나라 벼 품종 중 생장 기간이 70~80일로 가장 짧다.
이 때문에 빠르미는 △노동력·농자재·농업용수 등 절감 △가뭄·태풍·홍수 등 자연재해 발생 시기 회피 재배 △추석 전 햅쌀 시장 선점 등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이번에 수확한 빠르미는 지난 7월 27일 첫 수확 사흘 뒤인 같은 달 30일 동일한 논에 다시 이앙한 벼다.
2차 이양
수확량은 10a당 470㎏으로, 첫 수확(10a당 513㎏) 빠르미보다 10% 가량 감소했으나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일반적으로 벼를 늦게 이앙하면 생육 기간이 충분치 않아 이삭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못하고 등숙이 불량해 수확이 불가하거나 수량이 현저히 떨어지지만, 이기작 빠르미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경남과 전남 등 남부지방에서 일본 품종을 이용한 이기작 시도가 있었으나 수확량이 크게 떨어지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번 빠르미 이기작 성공은 가장 먼저 타 작목 연계 재배로 논 이용 효율성을 극대화 시켜 농가 소득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감자, 옥수수, 강낭콩 등을 3~7월 재배한 뒤 빠르미를 심거나 4~7월 빠르미를 키운 뒤 들깨, 감자, 무, 배추 등을 심어 또다른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이기작 성공은 또 국가 식량 위기 발생 시 비교적 빠른 시일 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농기원은 이와 함께 빠르미 움벼 재배도 실시, 이삭 패기 등이 정상 진행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움벼 사진
움벼 재배는 동남아시아 열대·아열대 지역처럼 한번 이앙으로 두 번 수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노동력 절감 등의 효과가 상당하다.
국내에서 움벼 재배는 생장 기간과 날씨, 수확량 등의 문제로 시도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빠르미를 개발한 농기원 윤여태 박사는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증가와 농자재 가격 상승으로 농업인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생육기간을 크게 단축시킨 빠르미는 농자재와 농업용수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타 작목 연계 재배 폭을 넓힐 수 있는 만큼 향후 품종 보급 시 농업인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lyo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