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외국어전문 학원을 비롯한 학원가 주변에서 온갖 추문과 비리 의혹이 끊이질 않고 있다.
학원 원장이 10억대를 횡령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지는가 하면 마약에 도박, 불륜, 심지어 여자 재수생과 성관계 추문도 잇따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조사부는 부적절한 명목으로 10억 원의 회삿돈을 빼돌린 혐의로 유명 외국어전문 교육기관인 A 어학원 P 공동대표를 불구속 기소했다고 31일 밝혔다. P 대표는 2005년 이사회와 주주총회에서 매출이 10% 이상 증가하면 P 대표에게 성과급을 지급하기로 결정된 것처럼 회의록을 작성해 이듬해 1월 회삿돈 10억 원을 성과급 명목으로 인출한 뒤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조사결과 P 대표는 자신에 대한 성과급 판단 기준을 매출 증가세를 보이던 성인학원 부문으로 정하면서도 다른 이사들에게는 매출 변화가 적은 출판 부문 등으로 한정해 성과급을 지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P 대표의 이같은 횡령 혐의는 A 어학원을 설립한 자신의 남편 K 회장 측의 고발로 드러났다. P 대표는 2004년부터 회사 주식 지분을 딸들에게 몰래 넘겨주다 K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 대표와 K 회장은 지난해 3월부터 이혼 소송을 진행 중인데 4차례에 걸친 조정이 실패해 위자료 산정 등을 위한 조사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목동 학원가 전경. 사진은 기사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일요신문 DB
지난 4월 16일 저녁 천안 시내 한복판에서 벌어진 총기 사망사고에도 학원이 연루돼 있다. 총기 난사가 발생한 곳은 충청남도 천안시 대형 마트 앞쪽에 위치한 커다란 공터였다. 경찰 관계자에 따르면 16일 저녁 8시 40분경 커다란 총소리가 4번이나 울렸고, 구급차가 출동했을때 이미 38살 정 아무개씨는 피를 흘리고 쓰러져 있었다. 이번 사건의 피해자 정 씨는 가해자 김 아무개 씨가 쏜 4발 가운데 2발이 머리와 어깨를 관통하면서 사망했다.
경찰 조사결과 총기난사 사건에는 충격적인 반전이 있었다. 가해자 김 씨가 총기를 난사한 이유가 다름 아닌 김 씨의 부인과 사망한 정 씨의 내연관계를 의심했기 때문이다. 경찰 조사에 의하면 숨진 정 씨는 김 씨의 부인이 운영하는 학원의 운전기사로 밝혀졌다.
지난해 11월에는 강남의 스타강사 6명이 마카오에서 상습적으로 원정도박을 한 혐의로 입건되는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줬다. 더욱 심각한 것은 당시 드러난 스타강사들의 ‘도덕적 해이’ 사례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학원가 주변에서는 일부 스타강사들이 원정도박 뿐만 아니라 빈번한 룸살롱 출입, 조교와의 불륜, 수입 신고 누락 등으로 끊임없이 구설에 오르내리고 있다.
특히 일부 강사는 여자 재수생과 성관계를 맺었다거나 조건만남을 가졌다는 소문도 나돌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유명강사 B 씨는 3~5명의 조교와 코디네이터를 따로 둘 정도로 고수익을 올리는 대표적인 스타강사다. 이 강사가 한해 벌어들이는 수입만 수십억원이 넘을 정도다.
또 다른 유명강사 C 씨는 출장을 핑계로 여자 조교와 함께 수시로 해외로 들락날락거리다 최근에 이혼 당할 처지에 놓였다. C 씨는 몇 년 전까지 경기도의 한 입시 학원에서 강사로 일하며 평범한 삶을 살아왔다. 하지만 C 씨의 강의가 입시생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면서 몸값이 껑충 뛰었고, 최근 전속 계약금으로 적지 않은 금액을 받고 강남의 유명 입시 학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이 강사는 명문대를 졸업한 미모의 여성을 조교로 뽑아 출장을 핑계로 해외여행을 수시로 하며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다. 결국 두 사람의 수상한 관계는 C 씨의 부인에게 발각돼 이혼소송이 진행 중이다.
스타 강사들이 고급 외제차와 골프회원권, 고가의 외제 명품들을 사들이며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은 이제 예삿일이 돼 버렸다. 여기에 각종 편법을 동원해 수십억 원의 세금을 탈루하다 적발되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대학 입시생들에게 미칠 영향력을 고려할 때 일부 스타강사들의 추문은 결코 쉽게 넘어가서는 안 될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학원 강사들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학교 선생님과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이들의 자질에 대한 법적규제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온라인 사회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