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실적이 좋지 않은 의료기기사업부, 생활가전사업부, LED사업부 등은 10~20%가량의 낮은 성과급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 내부에서도 성과급 ‘빈익빈부익부’가 생기는 셈. 하지만 지난해 ‘신 경영 20주년’을 맞아 전 직원에게 월급의 100%에 달하는 특별보너스가 지급되는 등 삼성의 성과급 잔치는 재계 중 ‘최상위’로 꼽히고 있다.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난해 임직원에게 지급한 성과급만 ‘3조 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와 반면 LG전자 직원들은 울상이 가득하다. 지난해 설날에 비해 성과급 차이가 심하게 나기 때문. LG전자는 올해 성과급을 기본급의 최대 100% 규모로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최대 250%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한 것과 비교하면 사실상 ‘반토막’이 난 셈이다. 100%를 받는 사업부도 가정용 에어컨(RAC) 사업담당 한 곳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진다. IT 사업담당, 세탁기 사업담당, 한국영업사업담당 등은 기본급의 50% 정도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최근 무선사업부와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임직원들에게 최고 비율인 연봉 50%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그룹 총수가 힘겨운 법정 싸움을 벌이고 있는 SK, CJ, 한화 등은 아직 성과급 계획이 미정이거나 이미 지급한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J그룹의 경우 지난해 급성장한 게임 산업 부문과 꾸준히 상위 매출을 유지하고 있는 CGV, 오쇼핑 등이 높은 성과급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CJ 관계자는 “계열사마다 영업실적이 다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몇 %의 성과급을 지급하는지 구체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다”고 전했다. 전언에 따르면 CJ그룹의 성과급은 연봉의 최대 10%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화의 경우 올해는 성과급 계획이 아직 미정인 것으로 전해진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1~2월에 성과급이 나온다는 소문이 있긴 한데 아직 확실하지는 않다”고 전했다. 오너 리스크와 성과급의 상관관계에 대해선 이들 대부분 기업이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부인했다.
한편 박근혜 정부 들어 고강도의 개혁을 예고하고 있는 공공기관과 공기업들은 대대적인 성과급 ‘수술’을 두려워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여전히 일각에서는 “공기업의 성과급 규모가 대기업과 맞먹거나 넘어서는 수준”이라는 비판도 팽배한 상황이다.
LG전자에서 100%의 성과급을 지급받는 부서는 가정용에어컨사업부 한 부서뿐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CJ는 CGV, 오쇼핑 등 계열사의 성과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무엇보다 문제는 부채가 과다한 공공기관에서 억대 연봉자가 속출한다는 점이다. 기획재정부가 중점 관리하는 ‘부채과다 12개 공공기관’의 억대 연봉자는 무려 ‘2356명’으로 조사됐다. 억대 연봉자 수로는 한국전력공사가 1266명, 한국수자원공사 255명, 한국가스공사 236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공공기관의 부채는 상상을 초월한다. 한국전력공사의 부채는 60조 원, 한국수자원공사는 15조 원, 한국가스공사는 35조 원으로 부채에 비해 과도한 연봉과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이노근 의원은 “천문학적인 부채를 가진 공기업들이 뒤에서는 임직원 연봉, 성과급으로 잔치를 하는 상황”이라며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전체 직원 4명 중 1명이 억대 연봉자로 조사됐다. 기관마다 8000만 원에서 9000만 원에 달하는 연봉자가 많아 수년 내 억대 연봉자는 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화의 올해 성과급 계획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기업별 임직원 성과급은 서울메트로 2900억 원, 서울도시철도공사 1800억 원, 부산교통공사 1000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러한 성과급 잔치가 천문학적인 부채 규모 뒤에서 벌어졌다는 점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메트로의 부채는 약 3조 원,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약 1조 원에 달했다. 결국 부채와 성과급의 ‘공동 상승’은 주요 공기업과 지방 공기업 모두에서 벌어지는 공통적인 현상인 셈이다. 바른사회시민회의 관계자는 “부채비율이 200%가 넘는 상황에서도 성과급이 지급된 공기업도 태반”이라며 “재무위기에 봉착한 지방공사들이 더 심각한 상태가 되기 전에 정부는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공공기관의 과도한 성과급 지급 문제와 관련해 대수술을 예고한 상태다. 정부가 내세우는 안은 오는 2015년까지 부실 공공기관 임직원에 대한 성과급을 반납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경영평가 항목에 부채 축소 조항을 추가해 자구노력 결과에 따라 성과급을 일부 제한하는 방안도 꺼내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정환 기자 kulkin85@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