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박원순 서울시장은 무기한 연기됐던 수도권 경전철 사업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추진 중인 우이동~신설동 노선에 9개를 더해 총 10개 노선을 신설하는 서울시 경전철 사업은 향후 10년간 8조 5000억 원이 소요되는 대규모 프로젝트.
수도권 광역단체장 선거 후보들이 저마다 철도와 관련된 공약을 들고 나왔지만 일부는 ‘선거용’이라는 비판을 받을 소지가 있어 보인다. 우태윤 기자 wdosa@ilyo.co.kr
정치권 일각에서는 서울시의 경전철 재추진이 박원순 시장 재선용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취임 이후 과도한 예산 소요를 이유로 난색을 표하기도 했던 박 시장은 대규모 민자 유치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히는 중이다.
박 시장에 대항하는 정몽준 새누리당 후보는 시간대별 요금을 인하하는 ‘얼리버드(Early Bird)’ 교통요금 할인 정책을 발표했다. 서민과 경제적 취약 계층의 이용이 집중된 오전 5~7시 사이 요금을 100~200원 인하하는 것으로 이는 정 후보에게 꼬리표처럼 붙은 ‘버스비 70원’ 논란을 정면 돌파하는 시도로도 읽힌다.
하지만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 부채만 해도 3조 원을 넘어섰기에 이 역시 박 시장의 경전철 재추진과 마찬가지로 선거용이 아닌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정 후보는 취임 직후 즉시 1조 원을 투입해 서울시 지하철 노후차량을 교체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 경기 : GTX? G1X? 헷갈린다, 헷갈려
인구 1200만의 경기도 역시 후보들의 철도를 중심으로 한 교통 공약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남경필 새누리당 후보는 김문수 경기지사의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되 경기권역 곳곳에 멀티환승터미널을 만들어 2분마다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발하는 ‘굿모닝 버스’를 도입해 보완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GTX 사업은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 김문수 경기지사가 내건 대표 공약이자 스스로 최고 성과로 자부하는 사업이다. ‘동탄에서 삼성까지 18분’, ‘킨텍스에서 강남까지 22분’ 등 수도권 전역을 1시간 교통권으로 만들겠다는 것이 큰 구상. GTX는 획기적인 공약이라는 평가와 함께 총 사업예산만 15조 원에 육박하는 등 효율성에 관한 비판이 동시에 제기됐다.
김진표 후보 측은 1~9호선 연장 사업에 5조 원, 순환철도망 구축에 5조 원을 공약에 따른 예산으로 제시하면서 전체적으로 GTX 사업보다 수조 원 아낄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미 진행 중인 지자체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이 경기도 입장에서는 부담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 인천 : 인천발 KTX 송도로 끌어오느냐, 광명으로 연결하느냐
세월호 참사 직전까지 안전행정부 장관을 지낸 유정복 새누리당 후보는 지난 11일 매머드급 교통 관련 공약을 발표하며 반격에 나섰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인천발 KTX 신설을 비롯해 인천~강릉 간 고속철도 건설,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국제도시까지 연장 등 파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인천발 KTX 신설이다. 인천시민들은 그동안 자체 KTX 역사가 없어 늘 갈증에 시달려 왔다. 이에 유 후보는 기존 추진 중인 수인선(수원~인천)을 경부고속철도와 연결하는 식으로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KTX 역사를 신설하겠다며 “전액 국비 조달 가능하다”는 단서를 달아 현 정권 실세임을 은연 중 내비쳤다.
현직인 송영길 새정치연합 후보는 지난 15일 후보자 등록을 시작으로 뒤늦게 선거에 나선 만큼 아직 공식적인 공약을 확인할 수는 없지만 인천도시철도 2호선을 KTX 광명역까지 연결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송 후보 측은 “이미 올해부터 인천시민들이 검암역에서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KTX 관련 사업은 부채에 시달리는 인천에 또 다른 재정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인천시와 국토부 간 의견 대립으로 착공이 지체되고 있는 제3 연륙교 문제와 관련해서도 유 후보는 기존안대로 지체 없이 건설한다는 입장이지만 송 후보는 “비용이 적게 들면서 효율적”이라며 해저터널로 변경 추진을 검토 중이다. 송 후보는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 인천~충청 간 해저터널 건설을 공약으로 들고 나와 찬반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김임수 기자 imsu@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