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후보 | ||
노무현 후보로의 단일후보 결정 직후 가장 큰 웃음소리를 낸 사람은 바로 민주당 정대철 선대위원장이다. 한화갑 대표가 고사한 선대위원장직을 맡아 민주당 내 반노비노세력의 비토를 막아내고 노무현 중심 체제를 꿋꿋하게 꾸려온 점이 크게 부각된다.
정 위원장은 단일후보 확정 발표 직후 민주당 기자실에서 “목 날아간 사람은 나 하나뿐이지만 그래도 기분은 좋다”고 말해 기자실에 운집한 인파들로부터 우레와 같은 박수갈채를 받았다. 공동선대위가 꾸려져 곧 선대위원장직을 내놓겠지만 노무현 후보의 승리를 자축하는 정 위원장의 발언은 노 후보가 받은 만큼의 환호성을 이끌어내기에 충분했다.
민주당 이해찬 의원도 입가에 미소를 떠올릴 법하다. DJ 정권 초기 교육부장관으로 재직하며 ‘이해찬 1세대’란 말이 나올 정도로 실패한 장관으로 입에 오르내렸고 얼마 전엔 야권과 병풍관련 검찰수사의 연관성을 거론했다가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그러나 노 후보가 국민경선으로 당내 후보가 됐을 무렵부터 노 후보 거품이 빠지고 반노세력에 의해 몰릴 때도 한결같이 노 후보를 지지해온 보람을 느낄 순간이 됐다.
최근엔 선대위 기획본부장으로서 정몽준 후보측과의 1차 협상단 대표를 맡아 정 후보측 단장이자 민주화운동 동지인 이철 전 의원과 무난한 합의과정을 이끌어낸 이 의원 표정이야말로 당연히 밝을 수밖에.
신계륜 의원도 이번 단일후보 결정 과정에서 탄생한 ‘깜짝 스타’다. 이번 단일화 협상에서 민주당측 후보단일화추진단장을 맡아 협의과정을 차분하게 언론에 알리면서 대중에 대한 안면을 넓혔다. 노 후보가 왕년의 ‘청문회 스타’라면 신 의원은 ‘협상 스타’로 자리매김한 셈이다. 노 후보의 승리결과를 직접 발표했던 그 순간이 신 의원에게 두고두고 잊혀지지 않을 듯하다.
▲ 왼쪽부터 민주당 정대철 선대위원장, 이해찬 의원, 신계륜 의원, 김한길 전 의원,, 문희상 최고위원 | ||
그러나 김 전 의원은 이번 협상에서 ‘화려한 조연’역할을 수행해 노 후보 승리 공신목록 반열에 올라서게 됐다. 미디어선거특별본부장을 맡아 이번 단일후보 선정 최고의 잣대가 된 TV토론에 대한 총지휘를 맡았던 것이다. 앞으로 남은 대선운동 기간 동안 역시 김 전 의원에게 거는 노 후보의 기대가 클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문희상 최고위원 역시 단일후보 발표 직후 기자회견을 하는 노 후보 뒤에 서서 환한 미소를 머금고 있었다. 노 후보 지지율이 하락하고 후단협 활동이 본격화되던 시점 문 위원은 국민경선 선출 후보인 노 후보에 대한 범동교동계 지지 입장을 끌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당초 한화갑 대표측 인사로 분류됐지만 입장 표명이 모호했던 한 대표와 달리 “당과 후보를 지키자”는 구호를 몸소 실천하는 중진 의원의 모습을 보여줬다. 이들 인사들과는 대조적으로 노 후보의 단일화후보 확정으로 얼굴빛이 어두워졌을 법한 사람들이 있다.
이른바 ‘반 노무현’ 혹은 ‘친 정몽준’의 길을 걸었던 인사들이다. 우선 ‘반노’를 부르짖었던 후단협 중심의 민주당 탈당파 의원들이 눈에 띈다. 민주당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국민경선 당시 노 후보의 승리를 직접 낭독했던 김영배 의원.
노 후보를 대선후보로 탄생시킨 국민경선 덕에 넓은 지명도를 얻은 그였지만 이후 ‘노무현 불가론’을 제일 먼저 부르짖은 당내 첫 중진인사가 됐다. 얼마전 탈당을 해서 무소속 신분인 그가 과연 화해의 미소를 지으며 노 후보에게 다시금 다가갈 수 있을지 아니면 다른 길을 모색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정균환 의원 역시 그다지 마음 편한 상황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당내 최대 계파 모임인 중도개혁포럼을 이끌어온 정 의원 역시 단일후보 추대에 적극적이었다. 물론 “누가 됐든 단일후보를 도울 것”이라는 게 그의 논리였지만 당내 최대 계보 수장이 당에서 선출한 노 후보 지지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던 것은 사실.
박상천 최고위원은 단단히 속앓이를 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박 위원 역시 후보단일화를 주장하며 노 후보의 ‘급진’노선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견지해 왔다. 정 후보를 지지할 것이란 관측이 나올 정도였으며 심지어는 박 위원이 국민통합21의 대표직을 받을 것이란 소문까지 나돌 정도였다. 물론 정몽준 후보가 대통령선거에 나선다는 전제 하에서였다.
▲ 김영배 의원, 정균환 의원, 박상천 최고위원, 이인제 의원, 김민석 전 의원 | ||
노 후보가 정몽준 후보와의 단일화를 이뤄냄에 따라 노 후보의 정당성을 비판할 논리가 사실상 희박해졌다는 것이다. 노 후보 지지율 하락 당시 늘 반대편에 서 있을 수밖에 없었던 터라 노 후보에 대한 적극적 지지도 노 후보 체제의 민주당과 다른 길을 가기에도 여의치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민주당을 탈당해 국민통합21로 일찌감치 자리를 옮겼던 김민석 전 의원의 굳은 표정도 쉽사리 풀리지 않을 전망이다. ‘잠시 헤어져 더 큰 하나가 되기를…’을 탈당 명분으로 내세웠던 김 전 의원. 일단 그의 명분은 후보단일화가 실현되면서 이루어진 셈이다. 그러나 자신이 새로 택한 집이 아닌 박차고 나온 집의 후보가 단일후보로 뽑혔다는 것이 이내 김 전 의원의 마음을 두고두고 무겁게 할 것으로 보인다.
후보단일화로 얼굴빛이 흐려질 인사들로 민주당 전국구 최명헌 장태완 박상희 의원을 빼놓을 수 없다. 이들 3인방은 후단협 소속으로 탈당을 결행하려 하면서 당에 ‘제명해줄 것’을 요구한 바 있다. 그들 스스로 탈당할 경우 전국구 의원직을 박탈당하기 때문이다. 의원직 사수를 위해 ‘제명’을 요구했던 이들 머릿속에 아직도 ‘제명’이란 문구가 선명하게 남아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