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현대차그룹이 지원하는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가 27일 출범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11시 광주 북구 오룡동 광주과학기술센터 내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윤장현 광주시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대구(삼성), 대전(SK), 전북(효성), 경북(삼성)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이은 5번째 센터다. <사진=광주시 제공>
[일요신문] 광주시와 현대차그룹이 지원하는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가 27일 출범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11시 광주 북구 오룡동 광주과학기술센터 내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윤장현 광주시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해 9월 15일 대구(삼성), 10월 10일 대전(SK), 11월 24일 전북(효성), 12월 17일 경북(삼성)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이은 5번째 센터다.
출범식에 참석한 박 대통령은 이날 “이곳 지명이 ‘오룡동(五龍洞)’, 하늘로 승천하는 다섯 마리의 용이 자리를 잡은 곳이라고 들었다”며 “앞으로 광주를 ‘자동차산업 창업의 포털’로 발전시키고 대한민국을 ‘수소경제의 리더’로 도약시킬 많은 용들이 이곳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탄생하기를 기대한다”고 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한 대기업이 지역과 상생하며 광주의 ‘무등정신’을 창조경제에 접목하고자 한다”며 “수소연료전지차 양산능력을 갖춘 현대차와 연구기관 등 수소산업 인프라를 갖춘 광주가 힘을 모아 융합 스테이션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수소차 산업의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광주는 한반도 남부에서 가장 오래된 바퀴가 발굴된 곳으로 1966년에 아시아 자동차공장이 들어서면서 자동차 생산의 기반이 마련됐고, 뒤를 이은 기아자동차공장은 전국 최고의 노동 생산성을 지닌 공장으로 발전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광주의 자동차산업은, 광주 전체 부가가치의 40%를 차지하고 제조업에서 일하는 사람 다섯 명 중 한 명이 자동차 산업에서 일하고 있을 정도로 광주를 대표하는 산업으로 발전했다며 지난해 광주의 수출이 160억 불을 넘어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리는 데에도, 자동차산업의 기여가 매우 컸다”면서 “이제 이러한 자동차산업 인프라의 토대 위에, 창의와 혁신의 새로운 에너지를 더해서, 새로운 미래의 도약을 이루어 나갈 때다”고 강조했다.
▲광주시와 현대차그룹이 지원하는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가 27일 출범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출범식에 참석한 박 대통령은 이날 “이곳 지명이 ‘오룡동(五龍洞)’, 하늘로 승천하는 다섯 마리의 용이 자리를 잡은 곳이라고 들었다”며 “앞으로 광주를 ‘자동차산업 창업의 포털’로 발전시키고 대한민국을 ‘수소경제의 리더’로 도약시킬 많은 용들이 이곳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탄생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진=광주시 제공>
박 대통령은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기대감도 피력했다.
박 대통령은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자동차 연구기관, 전문 전자부품기업, 완성차 공장 등 광주의 풍부한 인프라에 글로벌 기업 현대자동차의 전문역량을 더해서, 광주 지역의 특화된 발전을 이뤄가는 핵심 거점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친환경 자동차의 메카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확신했다.
그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수소차 양산능력을 갖춘 현대자동차와 수소충전소나 연구기관 등 수소 인프라가 잘 마련된 광주가 힘을 모아 수소 생산과 충전, 전기 발전, 그리고 수소차를 연결시키는 융합 스테이션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수소차 산업의 생태계를 광주에 조성할 것이며, 광주가 ‘수소경제의 리더’가 되도록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촉매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한 지역 공동체 지원도 약속했다.
박 대통령은 “1시장 1특색 개발과 브랜드화 지원에 더해서 전문가 컨설팅을 지원하겠으며, 시장 특색을 반영하는 디자인 도입, 인터넷과 모바일 마케팅 지원, 민속공연 같은 지역 문화나 예술을 접목한 마케팅 기법 개발 등으로 전통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정성환 기자 ilyo66@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