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6차 산업이라는 것이 어느날 등장한 새로운 산업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의 농업농촌이 국제개방과 다국적 거대회사의 등장, 자연재해 등으로 위기를 맞게 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고 민관 거버넌스를 구축하며 1, 2, 3차 산업을 융복합시키는 6차 산업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송문영 제주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파트장
우리나라도 이를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6차 산업법을 제정하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이런 농업농촌의 6차산업이 어떻게 하면서 ‘성공적’이 될 수 있을까 생각한다.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것은 1차산업 즉, 농업의 기반위에 2차와 3차가 융복합 되어야 한다는 것과 지속가능해야한다는 것이다. 농업이 주체가 되지 않는 6차산업은 2차와 3차산업에 의해 오히려 더 침체될 수 있다.
지속가능하지 못하다면 초기 자본 투입으로 어려움과 악화시킬 뿐이다. 여기에서 ‘지속’이라는 의미는 생산-유통-소비의 순환에 의한 경제의 지속과, 현세대와 후세대가 연결되는 사람의 지속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6차산업은, ‘미래세대 육성 기능을 갖춘 6차산업’이 되어야 한다.
어떤 지역에 있어 모든 자원을 데이터화 하고, 어떻게 1차산업을 2차, 3차와 융복합 시킬 것인가에 대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에 대하여 하드웨어적 기반을 구축하고, 운영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구축한다.
동시에 휴먼웨어로 지역 농업인 전체의 의식개혁은 물론 6차산업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한다.
처음에는 그 지역의 리더들이 중심으로 움직이고 그 후에는 그들의 2세들이 운영할 수 있는 거점을 마련해주는 형태이다.
2세들이 제주지역에서 정당한 임금을 받고 일할 수 있도록, 혹은 도시로 나갔던 2세들이 되돌아 올 수 있도록 그 6차산업장은 학교가 되어 농업을 가르치고, 가공, 유통, 판매, 서비스는 물론 사회적 기능을 가르친다. 그리고 그 2세들은 그 배움을 바탕으로 다시 6차산업을 움직이는 것이다.
제주지역은 채소 주산단지다. 기본적으로 자재비, 인건비 등 경영비는 매해 상승하는데, 양배추는 과잉생산으로 시장격리라는 이름하에 갈아 엎어진다.
브로콜리는 항상 같은 생물의 형태로 출하된다. 콜라비는 상 하품간의 가격차이가 3배 이상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재배면적과 작형, 품종을 조절하고 가공품을 만들고 유통 및 판매형태를 개선해야 한다.
처음 재배단계부터 관리해 출하량과 출하형태를 다양하게 하고, 가공과 판매방법을 개선한다. 그리고 그 시스템을 지속시켜 소득화 하고 그 후에는 우리 미래 세대들이 다시 양배추를 재배하고, 가공을 하고,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미래세대 육성 기능을 갖춘 6차산업이 성공적으로 정착돼 우리 농업농촌이 보존과 보전 속에서 미래로 넘어가길 소원한다.
경제논리에 밀려있는 농업농촌이지만, 생명을 존재하게 하고 미래를 존재하게 하는 근원임을 우리 모두가 되새길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