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 의원 측의 독주가 워낙 심해 모임 초기만 해도 별다른 ‘대안’이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상득 의원의 세가 워낙 강해 별달리 ‘저항’을 할 수단도 없었다. 그럼에도 소장파 인사들은 “이대로 6개월만 더 가면 모두 망한다”라며 청와대의 전략 부재와 경제침체에 대해 강한 위기의식을 공감해왔다고 한다. 하지만 그들에게는 여전히 ‘현실’을 극복할 활동공간이 주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들은 잦은 모임을 통해 두 가지 원칙을 세웠다. 정두언 의원을 필두로 소장파들이 계속 돌아가면서 이 대통령에게 현재의 왜곡된 여권의 소통구조에 대해 직언을 하자는 의견이 모아졌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이 이상득 의원을 견제하려는 권력투쟁으로 비쳐서는 안 된다는 원칙도 세웠다. 이렇게 소장파 일부 인사들은 ‘사발통문’을 돌려가며 여권이 처한 작금의 위기를 탈출할 최소한의 발판이라도 마련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일부 소장파 인사들은 이 대통령이 계속 자신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을 경우 ‘시국선언’이라도 할 태세였다는 전언이다.
그런데 이런 와중에 노무현 전 대통령의 형 노건평 씨가 수뢰혐의로 구속되면서 이상득 의원 견제론에도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이 대통령도 여권의 관리형 구도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그동안 옆에 놓아두었던 소장파 인사들의 명단을 다시 꺼내 보게 되는 계기를 맞았다. 이런 양측의 필요성이 내년 초 여권 쇄신 과정에서 어떤 결과물로 나타날지 주목된다.
성기노 기자 kino@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