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거돈 부산시장이 지난 3일 오전 가진 신년브리핑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부산유치를 재천명했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담 유치를 위한 지역 정관계의 노력은 이미 지난해 말께 시작됐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지난해 11월 21일 올 상반기 한국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아세안 특별정상회담의 부산 유치 의사를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과 만난 자리에서 “2019년 5월이나 6월께 열릴 예정인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담의 부산 유치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지역 여권도 회담 유치에 본격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은 닷새 후인 11월 26일 성명서를 내고 “오거돈 시장이 동북아 해양수도를 지향하는 부산이 환황해, 환동해권 네트워크 구축의 최적지가 될 수 있다는 취지에서 한·아세안 정상회담 유치를 제안했다. 전재수 부산시당 위원장이 한·아세안 정상회담 유치추진단장을 맡아 중앙 정부와 정치권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끌어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당은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담이 부산에서 개최될 경우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이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나아가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만큼, 반드시 부산 유치가 성사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새해 들어 개최지 선정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오자 이번에는 지역상공계가 나섰다. 부산상공회의소(부산상의)는 3일 오전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지 선정과 관련해 부산유치 촉구 성명을 발표했다.
부산상의는 성명서에서 “회담 개최 지역은 대규모 국제행사를 치르기 위한 컨벤션, 호텔시설, 관광자원, 교통 등 충분한 인프라와 개최 경험 등이 필수적이다. 2014년에 동일한 행사를 펼친 경험이 있는 부산이 가장 경쟁력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이번 특별정상회의가 한반도 평화시대에 대해 아세안 국가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구하고 정부의 신남방정책의 성과를 확인하는 자리이므로 남북평화시대 출발지인 부산에서 열려야 한다”며 “북한의 참여를 유도하고 한반도와 아세안 정상이 만나는 역사적인 순간의 최적지는 부산”이라고 전했다.
부산상의는 현재 부산 등 동남권이 주력산업 부진으로 지역경제가 침체일로를 걷고 있는 만큼, 이번 특별정상회의가 지역기업들이 세계 5대 경제권으로 성장 중인 아세안 시장에서 교역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14년 한·아세안 정상회담이 개최됐던 누리마루 APEC하우스.
부산상의 관계자는 “현재 우리 경제의 위기는 수도권 우선주의에 의한 비수도권 지방경제의 몰락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정부는 지방경제 살리기 차원에서라도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부산에서 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무엇보다 곧 출범할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단이 아세안 각국 정상에게 박람회 부산유치의 타당성을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같은 날 오거돈 시장은 이 같은 흐름에 방점을 찍었다. 오 시장은 3일 오전 가진 신년브리핑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 부산 대개조 프로젝트와 함께 올해 3대 핵심 시정 프로젝트로 삼고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미 부산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최근 전국 최초로 시민 주도의 ‘남북정상회담 성사·환영 부산 시민준비위원회’가 발족했다. 이 여세를 몰아 올해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를 부산에서 유치하겠다”며 “지금도 정부와 협의 중에 있다. 빠른 시일 내 부산 유치를 확정짓고 행사 준비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특히 오 시장은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초청하겠다는 뜻도 함께 나타냈다. 오 시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해운물류의 상징인 부산신항의 산같이 쌓인 컨테이너 앞을 나란히 걸어가는 모습을 상상해보자”면서 “전 세계에 ‘평화가 곧 경제이며 번영’이란 메시지가 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한국 개최는 지난해 싱가포르 특별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제안에 의해 성사됐으며, 아세안 10개국 정상과 기업대표 등 4000여 명 이상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공식적으로 유치를 희망한 지역은 수도권의 서울과 인천, 비수도권의 부산 등 세 곳이다.
하용성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