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사율 100%’로 알려진 아프리카돼지열병(ASF·African Swine Fever)의 북한 유입이 공식화 되면서 정부가 차단 및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진=일요신문 DB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치료약과 백신이 없어 폐사율이 최대 100%에 이르고, 발병하면 대규모 살처분이 불가피하다. 1920년 아프리카에서 최초 발생한 이 감염병은 아시아에서는 지난해 중국에서 처음 발병했고, 7개월 만에 전체 어미돼지의 30%가 살처분 됐을 만큼 전파 속도가 빠르다.
감염된 돼지는 고열, 피주 출혈 증상을 보이다가 10일 이내에 폐사한다. 야생멧돼지나 음식물 쓰레기, 각종 육가공품 등을 통해 전파된다. 물이나 공기를 통해서는 퍼지지 않고, 사람에게도 걸리지 않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인천 강화, 김포 등 한강 하구를 사이에 두고 북한과 인접해 있는 지역의 경우는 멧돼지를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전파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내륙 접경지역의 경우 철책으로 막혀 있기 때문에 북한지역 멧돼지의 국내 유입이 쉽지 않지만, 한강 하구 김포 지역 등 일부 지역에 철책선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이나 거리가 짧은 접경 구역에는 멧돼지가 물에서 헤엄을 칠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31일 강화군 등 접경지역 10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정하고 긴급 방역에 나선 정부는 야생 멧돼지에 의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를 막기 위해 울타리 및 포획틀 설치 중이다.
정부는 특히 멧돼지가 양돈농가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노후 울타리 시설을 교체하고, 울타리가 설치되지 않은 농가에 대해서는 조기 설치를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국방부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열상감지장비로 멧돼지 유입을 감시한다. 환경부는 어부들에게 멧돼지 차단방역을 홍보하고 사체를 신고하는 경우 포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농가별로 지정된 공무원들이 농가를 일일이 방문해 돼지열병 의심 증상이 나타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했다. 또 오는 7일까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와 동물위생시험소 직원 40여명을 접경지역 10개 시·군의 353개 전체 양돈농가에 보내 농가당 돼지 8마리의 혈액을 채취해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자체·농협과 함께 접경지역 농가 및 농가진입로에 대한 집중 소독도 실시하고 있다.
정부는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에 대한 국경검역도 강화했다. 정부는 하루에 약 19명의 인원과 약 9대의 차량이 드나드는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에 동·식물검역관 각 1명씩을 배치해 국경검역를 실시하고 있다.
문상현 기자 moon@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