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3일 인수위원회 접견실에서 고건 총리후보자를 만난 노무현 당선자. | ||
당시 이 프로젝트를 극비리에 진행했던 오원철 경제 2수석은 “대통령의 비밀지시로 진행된 사안이기 때문에 고 수석은 내용을 몰랐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전직 고위 관계자는 “1977년 이미 박 전대통령에 의해 이 계획은 공론화되었고, 국무회의에서도 몇차례나 거론이 된 사항이기 때문에 정무수석으로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고 후보자가 이 사안을 몰랐을 가능성은 희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 후보자가 정무수석을 거쳐 80년 국토개발원 고문을 맡았다는 사실도 그의 인지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백지계획은 10•26사태를 전후로 청와대에서 건설부로, 다시 KIST내 지역개발연구소에서 국토개발연구원으로 이관됐기 때문.
고 후보자는 지난 대선기간 중, 행정수도 이전 공약이 당시 한나라당의 공격을 받아 수세에 몰렸을 때에도 서울시내 S대학의 한 교수를 통해 노 당선자에 정책적 조언을 아끼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인수위 정무분과위 김병준 간사는 “고 후보자가 서울시장을 두차례나 지낸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당시 행정수도 이전에 관해 한나라당이 문제삼은 내용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 당선자에게 자문을 제공한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고 후보자의 발탁 배경에 행정수도 이전 ‘훈수’가 자리잡고 있다. 노무현 후보측은 고 후보자측의 행정수도 이전 훈수를 받아들여 대선 막바지 TV토론에 효과적으로 대처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고 후보자는 노 당선자에 의해 총리로 지명된 후 기자회견을 통해 “수도권 과밀은 심각한 수준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간의 균형 발전을 하는 효과적인 대안은 행정수도 건설 밖에 없다”는 지지 입장을 분명히 한 바 있다. 고 후보자가 총리 인준을 받게 될 경우 새 정부에서 행정수도 이전 계획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