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청와대사진기자단 | ||
최근 <네이처>가 또 다시 우리 정부를 향해 의혹을 규명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자 정부 측은 “<네이처>의 지적은 상식을 벗어난 행동이며 직접 확인할 일이지 정부에게 이래라 저래라 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황 교수와 정부의 대응 태도에 상당히 흡사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학계 주변에서는 이를 두고 “황 교수와 박기영 대통령정보과학기술보좌관(사진)의 ‘끈끈한 공감대’가 이런 유사한 반응을 불러 왔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황 교수와 참여정부를 연결하는 ‘코드’에 박 보좌관이 자리 잡고 있다는 데에는 이론을 제기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학계에서는 현 정부가 맹목적이다 싶을 정도로 황 교수를 추종하는 분위기는 박 보좌관이 큰 몫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박 보좌관은 지난해 1월 청와대에 입성하기 이전부터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참여하는 등 현 정부의 과학정책에 큰 역할을 담당한 인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이전까지 순천대 식물분자 생물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지난해 2월 황 교수의 <사이언스> 게재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함께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박 교수가 자신의 전공과는 무관한 체세포 핵이식 논문에 공저자로 어떻게 들어갈 수 있는가”라고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박 보좌관은 “생명윤리 차원에서 논문에 기여한 공로로 공저자가 됐다”고 주장했다.
박 보좌관은 지난 5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황 교수 연구팀이 넘어야할 가장 큰 산은 ‘생명윤리’ 문제”라며 “난자를 제공하는 여성의 건강문제는 황 교수팀이 면밀히 체크했고 그 위험성도 알린 것으로 알고 있다”고 일종의 면죄부성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학계에서는 “이제야말로 박 보좌관은 자신이 한 말에 대해 떳떳하게 앞에 나서서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노당도 “황 교수 연구에 윤리적 문제가 없다는 점을 수차례 강조하며 사태를 이 지경까지 악화시킨 박 보좌관은 당연히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할 것”이라고 직격탄을 쏘았다.
하지만 박 보좌관은 이번 파문이 불거지자 일단 침묵이라는 방법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인터뷰 요청에도 “당분간 언론과의 인터뷰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대신 전해왔다. “모든 공직을 사퇴하고 백의종군하겠다는 황 교수의 입장에 비해 다소 비겁한 것이 아니냐”는 질타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감명국 기자 kmg@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