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당 재건을 위해 띄운 비상대책위가 힘이 많이 빠져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진은 9월 26일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 모습. 왼쪽부터 정세균 의원, 문희상 위원장, 박영선 의원, 박지원 의원. 이종현 기자
새정치연합이 신당 창당 1년째 되는 내년 3월 26일부터 5월 26일 사이에 전당대회를 개최하기로 한 조항을 삭제하면서 내년 1월 조기 전당대회를 가능케 했다. 새정치연합은 적어도 국정감사 이후인 10월 말께까지 각 지역위원장을 뽑는 조직강화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어 전당대회준비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오는 11월부터는 당내에 비대위, 혁신위, 조강특위, 전대준비위가 본격적인 전당대회 준비에 돌입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조강특위는 지역위원장을 포함한 지역위원회 선발을, 전대준비위는 전당대회에 필요한 룰과 전당대회 준비를 진행하게 된다. 4개 위원회를 총괄하는 비대위가 최종 의사결정을 내리고, 혁신위가 혁신안을 조강특위나 전대준비위에 제시하는 등 서로 유기적이고 긴밀하게 역할 분담을 한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현재 구성된 비대위와 혁신위 등이 힘을 못 쓰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위원회들이 파열음을 내며 전당대회까지 어떻게든 ‘버티고’만 갈 것이라는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벌써부터 혁신위가 당의 혁신적인 권력구도 개편보다는 개헌과 선거구제 등 일반론적인 부분에만 손을 대고 있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한 정치평론가는 “지금까지 혁신위는 수도 없이 생겼고 혁신안도 만들어져 있다”며 “원혜영 위원장이 말하고 있는 것은 다들 알고 있는 이야기일 뿐 전당대회를 위해 해야 할 혁신의 알맹이는 빠져 있다. 지금도 혁신위가 뭘 하려고 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원혜영 혁신위원장도 다른 위원회와의 관할 조정과 관련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원 위원장은 지난 2일 <일요신문> 인터뷰에서 “전당대회와 관련한 것을 혁신위에서 다루는 것이 적절한지, 아니면 곧 만들어질 전대준비위가 다루는 것이 적절한지는 일단 비대위와 상의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지역위원회 개혁에 대해서도 “일단 지역위원회 선정은 조직강화특위가 맡는다. 혁신위가 역할을 하고 비대위에 결과물을 전달하기엔 너무 시급한 과제”라고 했다.
박영선 전 원내대표가 사퇴한 뒤 비대위에서 입지가 줄어든 비노계(비주류)의 반발이 심해지고 있는 것도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 김한길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비대위원직을 고사하면서 비대위에는 당내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계파의 수장 격인 정세균 의원과 문재인 의원, 인재근 의원, 비주류에서는 박지원 의원과 박영선 전 원내대표가 목소리를 내왔다.
계속 친노에 밀리고 있는 비주류는 앞으로 전당대회를 구성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할 조강특위와 전대준비위에 영향력을 집중시킬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조강특위는 후보 평가부터 시작해 경선 진행 등을 통해 전국 지역위원장을 선발하기 때문에 각 계파 간 치열한 자리싸움이 예고된다. 전대준비위는 전체적인 전당대회 준비를 담당하면서도 당헌·당규에 대한 대회 룰을 논의하기에 다른 위원회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결국 친노가 다수를 차지하는 비대위와 혁신위, 친노-비노계가 갈등을 벌일 조강특위와 전대준비위는 서로 삐거덕거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당내에서는 조강특위보다 향후 전대준비위에서 갈등의 골이 크게 패일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전당대회 룰을 결정하는 곳이기에 친노-비노 간 승패의 당락을 결정할 사안들이 첨예하게 맞붙을 예정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종 결정을 하는 비대위도 각 계파 수장들로 이뤄져 있어 전대준비위에서 결정된 사안들이 수월하게 통과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새정치연합의 한 고위 당직자는 이렇게 예측했다.
“위원장들이 관리형이기도 하지만 전당대회 전이기에 위원회 자체에 힘이 많이 빠져있어 리더십이 없다. 조강특위가 당장은 예민하고 중요하게 보이지만 앞으로 전대준비위가 더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다. 친노 쪽에서는 본인들이 유리한 모바일투표 문제 등을 거론할 것이고 비노는 당대표가 되지 않아도 지도부에서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전체지도체제로 바꾸자고 할 것이다. 또 최종 결정은 비대위에서 한다. 비대위도 당권주자들 위주로 돼 있으니 파열음이 안 날 수 없다. 각 주자들이 자신들이 나갈 대회의 룰을 결정한다는 비판이 틀린 말이 아니다.”
김다영 기자 lata133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