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지난 14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광양회’란 자신의 힘을 드러내지 않고 때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1980년부터 20년여 동안 중국이 취해온 대표적인 외교정책이다. 발톱을 감출 줄도 알아야 한다는 의미였다. 이 의원은 “집권당 대표가 다른 나라의 수장을 만나러 가는 길이라면 BH(청와대)를 예방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뭔가 메시지라도 들고 가야 하는 것이 상식이다. 이렇게 된 마당이니 박 대통령이 돌아오고서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를 일”이라고도 했다.
하지만 김 대표가 현 여권에서는 대세인지라 그의 방중을 왈가왈부하는 이는 드물다. 오히려 한 재선 의원은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초청을 받은 것이고, 시진핑 주석과의 면담도 잡혀 있었기 때문에 한중 집권당끼리의 대화는 환영받을 일”이라고 했다.
공천이나 자리 등 이해득실과 관계없는 여권 인사들은 꽤 비판적이다. 여권의 전략 분야 관계자는 이런 해석을 들려줬다.
“중국의 초청이 있었다면 이렇다 할 결과물을 가져왔어야 하는데 그런 것도 없다. 한반도 비핵화, 6자회담 등등은 이미 다 나온 이야기 아닌가. ‘김무성 외교물’은 하나도 없다는 게 중론이다. 특사정치로 힘을 과시해 온 박근혜 따라하기 그 이상 이하도 아니다.”
정치권 동향을 파악하는 한 기관 관계자는 “기자 43명이 따라 갔다면 신문, 지상파, 종합편성채널 등에서 김무성 밀착 취재를 보도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다. 뉴스거리가 없었기 때문”이라며 “성과물이 없다는 자격지심이나 어떤 불안감 때문에 개헌 이야기를 방중 마지막 날에 했던 것일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친박계 전략분석통으로 알려진 여권 인사는 김 대표의 개헌 발언 후 대통령에게 사과한 것을 두고 3가지 우를 범했다고 했다.
“우선 개헌 이야기를 잘못 꺼내 정국이 혼란해졌다면 국민에게 사과를 해야지 대통령에게 왜 사과하는가. 그것은 왕조시대에나 가능한 이야기다. 두 번째, 방중 성과가 미미하다보니 말미에 의도적인 도발을 한 것으로 읽히기도 한다. 만약 그렇게 치고 빠지는 식의 정치행위를 이어간다면 큰 정치인 이미지를 얻기 힘들다. 무엇보다 개헌 이슈는 실수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세 번째, 김 대표 이야기는 정기국회에서는 개헌 이야기를 하지 말라는 조건부·시한부 사과다. 그 뒤로는 개헌하겠다는 것인데…. 진정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김 대표의 도발로 박 대통령의 후계자 양성 시기가 예상보다 일찍 도래할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온다. 또 경찰, 검찰, 국정원을 거느린 청와대가 칼을 빼들 수 있다는 말도 들린다. 김 대표의 첫 ‘대장정’ 평가는 그 뒤에 해야 할 듯하다.
선우완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