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도> 중반의 고비. 흑진에 들어와 있는 백 전체를 향해 흑이 1로 모자 씌우면서 공중폭격을 시작한 장면이다. 백이 살아나기가 만만치 않아 보인다. 물론 돌이란 게 살기보다는 잡는 게 어려운 것이지만.
<2도> 실전진행. 백1은 아무튼 잇고 싶은 곳. 실리가 적지 않으며 여기를 이어 놓아야 우변 흑과 비빌 수 있고 그게 타개에도 도움이 될 테니까. 그러나 국후 백1은 욕심이었다는 지적을 받았다. 흑2가 비수 같은 점. 백은 변 쪽의 두 점은 버리고, 흑2가 오기 전에 다른 길을 찾아야 했다는 것. 백3, 5로 헤쳐 나갈 때 흑6, 여기를 이렇게 하나 끊어 백7과 교환한 것이 구리 9단의 정교한 수읽기였다.
<3도> 흑1에 백2, 4로 일단 한 집을 확보하려 하자 흑5 단수, 이건 또 아마추어 하수들이 즐기는 노골적인 파호인데?
<4도> 백1 때 흑2가 또 다시 통렬한 파호. 이하 백9까지, 백이 전멸은 면했다 하나 출혈이 너무 컸다. 여기서 눈에 띄는 게 바로 흑6이었다. 그게 뭔데? 흑쫕와 백쫔의 교환이 없었다면 흑8로 잘라 먹을 수가 없었던 것.
<5도>에서 보는 것처럼 백1로 이을 때 흑2로 뒷수가 찬 다음에 막는 것은 백3, 거꾸로 변의 흑이 잡히는 것. 그래서 <4도> 백3 때 흑은?
<6도> 흑2로 이어야만 하는데, 그러면 백3으로 뚫고, 흑4에는 백5로 늘어 완생이다. 백5로 A는 흑B, 백C, 백5 자리로 흑이 파호하는 수가 있긴 하지만.
여기서 백은 하변에서 몸통보다 큰 꼬리를 잃었고 사실상 이기기 힘든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후 선전해 그럭저럭 계가의 양상으로 어느 정도 실점을 만회, 중반 한때 역전의 기회도 잡았지만 기회를 못 살리고 결국 백기를 들고 말았다. 분패한 박 5단. 제2, 3국의 선전을 기대한다.
이광구 바둑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