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7이 맥점. 2국에서는 백7로 B에 호구쳤는데, 흑이 7로 되젖혀 대응하는 수가 좋았었다.
<2도> 흑1~백4 다음 흑5, 7로 나가 끊은 것은, 돌의 체면을 살리려는 것이었으나, 백12까지 백은 쉽게 살 수 있는 모습인데 비해 흑은 외곽이 좀 어수선해
보인다. 흑13 다음엔….
<3도> 백1은 당연한 돌파. 흑2는 흑△△ 두 점은 버리겠다는 뜻. 하긴 살리는 수도 없다고 한다. 흑2로 4면 백1, 흑B에서 백1로 끊어 회돌이치며 백이 선수로 산다는 것. 백3은 강수. 이걸로는 4에 두어 두 점을 잡아도 충분했는데, 조 9단이 강경책으로 나간 것. 순간 검토실은 불안을 느꼈다. 평소 조 9단답지 않은 행동이었기 때문에. 안 하던 행동을 하면 사고가 날 가능성이 생기는 것이니까.
그 예감이 다음 순간 현실로 나타났다. 백5로 이단젖힌 수가 그것. 흑6에는 백7로, 패를 하겠다는 것인데, 이게 오버였던 것. 계속해서….
<4도> 흑1은 백의 팻감을 미리 없애는 것. 흑5 패 따내고, 백6 팻감 쓰고, 백8로 △ 자리 패 따낼 때 흑9로 나갔다. 백10으로 A면 흑은 일단 패를 따낸다. 다음 백에게 좌상귀 B 자리 팻감을 한 번 더 쓰라는 것. 백B는 대악수 팻감이니까. 그렇게 악수를 두어 주면 우하귀 패는 양보한다는 것.
<5도> 백1~흑8로, 우하귀 패싸움은 바꿔치기로 일단락되었는데, 이건 누가 보아도 흑의 성공이었던 것. 우하귀 실리가 적지 않다 하나 중앙 백 넉 점을 잡은 두터움과 위력에는 비교가 안 되는 것이니까. 흑이 일찌감치 승기를 잡은 모습.
<3도> 백5로는 <6도> 백1로 내려서 곱게 사는 것으로 충분했던 것. 백5까지 전체적으로 백이 두터움이 은은히 제압하는 국면이고, 이게 조한승 스타일에도 어울리는 바둑이었던 것. 구리 9단도 국후 몇 번이나 <6도>를 그려 보이면서 조 9단을 위로했다.
이광구 바둑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