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도> 초반부터 흑 실리, 백 세력의 양상. 백1로 세력의 품을 넓히자 흑2로 우상 방면 실리를 추가로 확보하는 장면인데, 이게 조금 빨랐고 백3이 흑은 아팠다는 것. 백1은 흑A에 대한 간접보강이기도 했다.
<2도> 흑1로 굴복하자 백2로 한 번 더 다그치며 신경을 긁고 있다.
<3도> 백1에서 3, 백의 세력이 속도감 있게 확장되고 있다. 피차 A의 곳을 감안하고 있다. 흑6이면 이제는 백은 A의 지켜야 한다. 백7, 반짝반짝한 수. 다음 흑은 A에 끊을 수 없다. 이유는?
<4도> 흑1, 3이 큰 실수. 백4가 다시, 아까 <3도>의 백7보다 더 반짝반짝! 흑은 A에 끊을 수 없을뿐더러 5처럼 막아야 하는데 그것 참, 후수가 되었다.
<5도> 흑은 그냥 1로 막는 것이 조금 나았지만 그러면 백도 2로 잇는다. 다음 흑3이면 역시 백4로 젖힌다. 흑A면 흑3이 잡히므로. 흑3이 잡히지 않게 하려면 5로 두어야 하는데, 이건 일단 좀 모양이 우스운데다가 백6으로 가만히 잇는 수가 있다. 흑7 이하는 흑이 불리한 싸움. 흑은 9 다음 11에 이어야 하니, 빅이 되거나 흑이 불리한 패가 된다. 수순 중 흑11로 B에 막을 수가 없다. 흑B면 백11, 흑C에서 백D니까. 애초에 흑은 <1도> 백1 때?
<6도> 흑2로 치받고 백3 혹은 A 대 흑4로 정비하는 것이 부분적인 정수였다는 것이 국후 검토의 결론이었다. 이건 흑B로 끊는 수가 남아 있다.
이광구 바둑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