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이 계속 발생하는 경주에서 월성원전 1~4호기의 재가동은 자칫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월성원전 재가동 시도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은 “9.12 경주 지진 이후 양산단층을 비롯해 현재까지 63개의 활성단층이 발견됐으며 최근 경주문화원에서 개최한 ‘지진과 경주의 미래 포럼’에 참가한 손문 교수(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는 경주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이라며 최소 규모 7.0의 지진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9.12 경주 지진 대책으로 2019년 말까지 월성 인근지역의 단층 정밀조사 추진을 약속했고 산업통상자원부는 9.12 경주 지진 대책으로 2018년 4월까지 원전의 내진성능을 규모 6.5에서 규모 7.0으로 보강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러한 약속이 전혀 지켜지지 않은 채 월성원전 1~4호기 재가동이 추진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특히 “월성원전의 내진 성능에서 가장 중요하는 부분은 원자로(압력관)의 내진성능인데 캐나다의 월성원전 설계도를 확인한 결과 지진 발생시 원자로(압력관)의 내진 성능이 규모 6.5(0.2g)에서 단 1%밖에 여유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고 그럼에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를 다시 검증하지 않고 한국수력원자력(주)의 규모 7.0의 지진에도 압력관이 견딘다는 주장만 수용하여 재가동을 승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더구나 “지진의 종합적인 영향은 격납건물의 방사성물질 누설률 평가로 확인하는데 월성원전과 동일한 설계이지만 수명연장하지 않고 폐쇄한 캐나다의 젠틸리 원전 2호기는 설계기준으로 누설률이 0.1%였는데도 시간이 지날수록 누설률이 계속 증가해서 문제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월성1호기의 ‘격납건물 종합누설률시험(ILRT)’ 평가에서 누설률이 0.2416 wt%/day로 합격기준(0.375 wt%/day 이하)을 만족한다고 했지만 월성원전의 누설률 합격기준을 0.375%로 0.1%보다 상향조정한 이유를 해명해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ilyodg@ilyo.co.kr
-
경북도, 2025 국비예산 역대 최대 11조 8677억 원 확보
온라인 기사 ( 2024.12.10 19:29 )
-
대구시, 2년 연속 국비 8조 원대 달성
온라인 기사 ( 2024.12.10 19:36 )
-
광역철도 대경선(구미~경산) 개통…"대구·경북 하나로 잇다"
온라인 기사 ( 2024.12.13 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