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관련 기업의 장비지원이라는 본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해 지난해 장비가동률 35%를 기록하며 ‘멈춘 공장’의 모습을 보였다.
2000년대 초반 설립 이래 변변한 성과를 내지 못하며 부침을 겪어온 충남TP 정보영상융합센터는 결국 도의회에서 ‘없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듣게 됐다.
폐소의 기로에 선 충남TP 정보영상융합센터는 지금 어떤 모습일까.
충남테크노파크 정보영상융합센터.일요신문 대전본부 박하늘 기자
충남 천안시 직산읍의 충남TP 정보영상융합센터를 방문한 지난 10일, 찬 바람이 부는 날씨처럼 센터 내부도 한기가 돌았다.
센터 내부는 한산했으며 입주기업과 센터 직원 몇 명만이 인기척을 보였다.
도의회의 지적을 방증하듯 이날 센터의 장비들은 한대도 돌아가지 않고 있었다. 입주 기업들의 장비이용도 일체 없었다.
충남TP의 주요 역할은 고가의 장비를 구입할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한 벤처·중소기업들에게 장비와 기술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는 TP 자체의 탄생이유와 궤를 같이한다.
하지만 본연의 구실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것이다.
충남도의회 유병국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충남TP가 보유한 장비는 총 515종 1366대였다. 장비 가동률은 2014년 45.4%, 2015년 50.9%, 2016년 50.1% 로 절반의 가동률을 가까스로 맴돌았다.
더욱이 지난해 가동률 40% 미만의 장비는 519대 였으며 가동률 ‘0%’의 장비도 427대에 달했다.
정보영상센터가 보유한 장비는 133종 894대 충남TP의 전체 장비의 65%를 차지한다. 정보영상센터의 장비 가동률은 35%에 불과했다. 충남TP 내 장비지원 센터 중 최하위다. 가동률이 4~6% 인 장비도 수 백 대에 달했다.
이러한 이유로 도의회 행정감사에서 정보영상융합센터는 ‘실패한 정책’이라고 규정되고 ‘폐지’, ‘구조조정’을 압박 당했다.
사실 정보영상융합센터의 ‘실패’는 이미 예견돼 있었다.
먼저 정보영상기술의 급속한 발달이다.
정보영상융합센터는 2000년대 초반부터 장비를 구축해왔다.
첫 장비도입 당시에는 정보영상융합센터는 영화를 찍은 후 픽셀포인트로 색을 보정하는 ‘랜더팜 시스템’, 고화질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4K 촬영기’, CG 기기 등 최첨단의 영상장비를 구비했다.
그러나 기술발전에 따른 첨단장비들의 등장에 센터 장비의 노후화도 급속히 진행됐다. 4K 촬영기의 고화질 동영상은 이제 휴대전화로 촬영할 수 있는 수준에 다다랐다.
자연스레 장비 사용 수요는 급격하게 저하됐다. 장비도입 10년이 지난 지금은 첨단영상 장비들은 ‘퇴물’이 돼버렸다. 센터의 장비지원 역할도 줄어들었다.
충남테크노파크 전경.충남테크노파크 제공
정부의 ‘수도권규제완화’ 정책도 센터의 실패를 가속화 시켰다.
일산의 ‘빛마루’, 서울 상암의 ‘누리꿈스퀘어’ 등 영상지원센터들이 영상산업 성장과 더불어 설립됐다. 이 센터들은 당연히 최신 장비를 구비했다.
사업의 특성상 영상콘텐츠 기업들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이 기업들은 지근거리에, 더욱이 최신 장비를 갖춘 다른 지원센터를 두고 천안까지 내려올 이유가 없었다.
가동률이 떨어진 센터는 지난 2014년 이후에는 장비구입을 멈췄다.
더불어 당시 원장의 수익성 위주의 사업 방향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기업의 장비지원보다 사업에 집중한 당시 원장은 지난 2014년 센터의 인력을 13명에서 7명을 감축했다.
센터 직원들은 대부분 기업의 기술 및 장비 지원을 위한 엔지니어로 구성됐다.
직원 수가 줄어든 만큼 센터가 지원할 수 있는 기업도 줄어들었다. 게다가 엔지니어들은 기술지원뿐 아니라 사업도 병행해야 하기 때문에 기업지원이 더욱 어려워졌다.
이와 지난 2013년 이후 줄어든 산업부의 디지털영상콘텐츠 사업도 센터의 영상장비 인프라 축소에 한 몫 했다.
결국 본연의 역할을 못하게 된 정보영상융합센터는 정체성을 잃게 됐다.
현재 센터는 본래 기능에 한계에 봉착함을 인지하고 기능조정으로 도생의 길을 꾀하고 있었다.
충남TP 관계자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파악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ynwa21@ilyods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