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결정 기자회견에서 (좌로부터) 한만수 문화체육관광국장, 신동학 (사)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상임대표, 권영진 시장, 김영호 세계기록유산등재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전 산업자원부장관), 배종수 (사)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이사가 축하 박수를 보내고 있다. 사진=대구시
[대구=일요신문] 김성영 기자 = “최선을 다 했지만 마지막까지 불안했다. 일본의 방해가 워낙 심해서...”
권영진 대구시장은 31일 기자회견을 통해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최종 결정 직전까지 노심초사 했던 심경을 밝혔다.
유네스코에 내는 막대한 분담금을 앞세운 일본이 위안부 기록물 등재를 반대하는 과정에서 사실상 협박에 가까운 압박이 있었기 때문이다.
2년에 한 번씩 국가별로 부담하는 유네스코 분담금에 일본은 전체 분담금의 10%에 가까운 709억4600만원을 내는 반면, 한국은 일본의 20% 수준인 149억4500만원 가량이다.
이런 압박에도 등재를 결정한 유네스코에는 고마움의 뜻을 전하면서도 일본의 저지로 위안부 기록물 등재가 보류된 데 대해서는 안타까움을 표했다.
권 시장은 “일본이 유네스코에 내는 분담금을 안내겠다며, 유네스코 본부에 통보하고 하는 그런 과정이 있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런 과정에서 일본 지식층과 양심적인 분들, 유네스코 위원들을 찾아가 설득하는 노력들로 등재가 결정됐지만, 결국 위안부 기록물은 등재되지 못했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북한을 포함한 국내·외 자료를 수집·보존하는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은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경색된 대북관계로 후속조치를 준비 중인 대구시의 과제로 남았다.
국채보상운동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위 공동 위원장인 김영호 전 산자부 장관은 “(북한과의) 공동 심포지엄은 당시 박근혜 정부의 대북 압박으로 우리가 좀 미루자고 하는 방향으로 나갔기 때문에 남북 관계가 조금만 좋아지면 북한의 기여와 참여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비공식적으로 연변대학 교수들이 중간 역할을 많이 했고, 그 중간 역할을 하는 분이 사실은 대구에 와 우리들도 만나고 시장님도 만나고 했지만, (현 남북 상황으로) 조심스런 부분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권 시장은 “남북관계가 너무 얼어붙어 있기 때문에 공동으로 기록물 찾기 운동본부 같은 것을 지금 당장은 만들긴 어렵겠지만, 남북관계 상황을 봐서 북한에 공식 비공식 채널을 통해 이부분들을 해 나가야 한다”면서, “내일 마침 통일부 차관이 대구를 방문할 때 이런 부분들에 대해 미리 협의를 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이번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로 후속조치에 나섰다. 먼저 대시민 보고회와 함께 비전발표회를 열고,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과 연계해 정부와 국채보상운동 정신의 세계화를 위한 사업 준비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편, 유네스코가 이번 회의에서 조선 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통신사 기록물 등 3건을 등재하면서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은 총 13개에서 16개로 늘었다. 이번 등재로 대구시는 지역 최초로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ilyo0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