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진 단체사진
[대전=일요신문] 육심무 기자 = 한양대 최제민 교수 연구진이 식물의 키틴분해효소와 유사한 인간의 단백질을 표적으로 암에 대한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항암치료 방법을 제시했다.
최근 항암면역치료는 암에 대한 스스로의 면역 능력을 증가시키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연구진은 T세포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Chi3l1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하고,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면역치료 물질을 개발해 항암제의 부작용과 암의 재발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식물이 병충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데에 사용하는 1차적 방어물질인 키틴분해효소에 주목하고, 유전적으로 보존돼 있는 인간 단백질(Chi3l1)의 면역체계에서의 역할을 연구했다.
Chi3l1은 키틴 분해 능력은 잃었지만, 암에 대한 T세포의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Chi3l1 유전자가 결핍된 T세포는 Th1 세포 및 세포독성 림프구(CTL)로의 분화가 증가된다.
분화 후에 인터페론감마(IFNγ)의 발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세포의 면역반응이 활성화된다.
연구팀은 이어 Chi3l1 유전자에 결합하여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표적 치료물질(펩타이드―siRNA 중합체)을 개발해냈다.
펩타이드-siRNA 중합체의 암세포 전이 억제 과정 요약
이 물질은 흑색종 암이 폐로 전이되는 생쥐실험에서 암세포의 폐 전이를 획기적으로 억제해 그 효능을 입증했다.
최제민 교수는 “이 연구는 다양한 종에서 진화적으로 보존된 키틴분해효소 유사 단백질이 인간의 면역조절 기능이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표적으로 한 항암면역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며 “이와 같이 다른 생물종의 1차적 방어물질의 우리 면역체계에서의 역할을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2월 5일 논문명 ‘Regulation of chitinase-3-like-1 in T cell elicits Th1 and cytotoxic responses to inhibit lung metastasis’로 게재됐다.
ilyo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