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9월 인천항을 통해 입성한 미24군단 주력과 예하 미7사단은 조선총독부 제1회의실에서 단 10분간의 항복조인식을 통해 38도선 이남에서 일본의 35년 지배를 공식적으로 끝냈다.
1년 후 미 육군수송선 펀스턴호가 인천항에 도착했다. 배에는 미군과 외교관 가족 187명이 타고 있었다. 일본군이 떠난 용산병영을 캠프 서빙고라 명명한 미군은 이곳에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열었다.
당시 남한 사회는 좌우 이념의 갈등 속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이후 미군사고문단(KMAG) 500명을 제외한 주한미군의 완전철수까지 이어지면서 혼돈의 시기를 거치게 된다.
격변의 시기 속 담장 밖과는 전혀 다르게 흘렀던 용산기지의 시간을 들여다본다.
1949년 미군 한국에서 철군을 완료했다. 불안했던 38선 정황에 대한 보완장치로 창설한 주한미군사고문단(KMAG)과 함께 대한민국 국방부와 육군본부가 용산기지로 이전한다.
처음으로 우리군이 용산기지의 주인이 된 것이다. 그리고 정부수립 직후 국군의 뿌리가 형성되던 이 시기에 용산기지에서 '국군 7사단'과 '수도경비사령부'를 창설함으로서 비로소 8개 사단을 확보하게 된다.
하지만 1년 후 6.25 전쟁이 발발하고 용산기지는 다시금 미8군에 공여된다. 단 1년간의 대한민국 용산기지 시절 그 짧았던 역사를 되돌아본다.
해방정국의 혼란 속 우익테러단체 조직 중 하나였던 대한민주청년동맹이 좌익활동가를 납치해 살해하는 사건을 벌인다. 테러단체 별동대를 이끌었던 이는 김두한. 미군정은 군사재판을 열어 김두한에 교수형을 선고한다.
사형전까지 김두한이 구금된 곳이 용산기지 내 '미7사단 구금소'였다. 그리고 2년 후 백범 김구가 육군포병 소위 안두희에 의해 서대문 경교장에서 암살된다. 암살범 안두희가 구금된 곳 역시 이태원 육군형무소로 명칭이 바뀐 용산기지 내 구금소였다.
6.25 전쟁 발발 전날 밤 육군 수뇌부들이 육군본부 장교클럽 개관 파티를 빌미로 술판을 벌였던 곳도 용산기지 내 현 캠프코이너 부지였고 현재 사우스포스트 벙커인 육군정보국 건물은 한강 다리 폭파가 결정된 곳이기도 하다.
해방정국과 6.25 개전 초기 역사의 인물들과 함께 했던 공간으로서 용산기지에 얽힌 뒷이야기를 짚어본다.
주한미군의 대명사 미8군. 6.25 전쟁으로 한국땅에 발을 디딘 이래 전쟁으로 황폐화한 용산기지의 재건 '용산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에서 군단의 역사를 만들어간다.
그리고 담장 밖 한국 사회가 격변의 시간을 보낼 때 담장 안이라고 조용할 리 없었다. 5.16,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12.12 등 그날 그 순간 용산기지 안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 1950년 이래 용산기지를 거쳐온 다양한 연령대의 카투사와 퇴역 미군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몰랐던 그래서 궁금했던 용산기지의 숨겨진 모습과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들어본다.
2년 전 미군 장교숙소 5단지 개방과 함께 그동안 막연하게 느껴지던 용산공원 조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생태를 복원한 도심 속 자연치유의 공간이자 역사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평화의 공간으로 조성될 국가공원 1호 용산공원. 1945년 캠프 서빙고에서 시작된 용산기지라는 공간이 용산공원으로 변모해가는 일련의 과정을 짚어본다.
이민재 기자 ilyoon@ilyo.co.kr
-
"그분이 오신다" 남궁민 등판 소식에 금토드라마 시장 술렁
온라인 기사 ( 2024.10.31 15:19 )
-
‘1등만 기억하는 세상은 지났다’ 대중은 왜 에드워드 리 셰프에게 매료됐나
온라인 기사 ( 2024.10.18 18:03 )
-
‘영상 퀄리티 엄청나다’…‘흑백요리사' 스타 ‘급식대가’, 유튜브 데뷔 화제
온라인 기사 ( 2024.09.26 2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