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통합신공항, 중남부권 중추공항 청사진 마련
- 2030년 개항 후 30년 후인 2060년 인천공항의 2/3 규모 확대
- 양극 중추공항, 4대관문공항 육성…유사시 대비, 균형발전
[일요신문]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2030년 완공하고 2035년 민간활주로 1본의 추가 건설을 추진해 명실상부한 중남부권 중추공항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대구시가 통합신공항이 중·남부권 중추공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민간공항 건설·운영을 담당할 국토교통부에 충분한 시설규모 반영을 요청힐 방침이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성공 여부에 따라 대구 미래 50년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13일 시에 따르면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이 건설되면 해외여행 및 항공물류 서비스가 편리해져 대구․경북권역은 물론 충청권, 강원권, 가덕도 신공항 완공 전 부·울·경 전 영남권 등에서 통합신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경우 2035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국제여객 수요의 14.2%인 1998만명(2060년의 경우 2887만명)과 국제항공 화물 수요의 25.1%인 148만t(2060년의 경우 197만t)이 통합신공항에서 처리될 것으로 전망했다.
공항시설 용량이 뒷받침돼야 예측된 수요를 현실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대구시의 설명이다.
이를 위해 민간공항 사전타당성을 검토 중인 국토교통부에 활주로, 계류장(주기장), 여객 및 화물터미널 등에 대한 적정시설 규모 반영을 요청하기로 한 것.
- 활주로 3800m 길이 …시간당 50회 이상 운항 가능 규모
활주로의 길이는 '공항·비행장시설 및 이착륙장 설치기준'에 맞도록 항공기 기종별 최대이륙중량과 함께 활주로 위치의 표고, 온도 및 활주로의 종단경사 등을 반영한다. 이 기준에 충실히 따를 경우 3800m의 활주로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달 18일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기본계획으로 통합신공항의 활주로는 근접 평행활주로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고속탈출유도로, 항공기 대기구간, 충분한 주기장 등을 적절히 확보할 경우 시간당 50회 이상(민군 전체)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민·군 겸용공항의 특성상 군용 항공기와 함께 활주로를 운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어, 2045년께 부터 예측수요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2035년 이후부터 민간 전용 활주로 1본을 추가하는 2단계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 계류장, 첨두시간 항공기 원활한 운항 지원 위해 57곳 필요
예측된 항공수요 처리를 위해서는 2060년 첨두시 시간당 37회 이상 운항을 지원하기 위해 첨두시간 항공기 운항 횟수, 항공기당 계류장 점유시간, 공항이용률 등을 감안해 여객기는 53곳, 화물기는 4곳의 계류장이 필요한 것으로 예측했다.
- 경쟁력 있는 국제 허브공항 걸맞은 '여객·화물터미널' 필요
여객터미널은 첨두시 1인당 여객을 처리할 적정 면적(45㎡)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수요와 첨두 수요 등 요인을 반영해 수속 및 대기시설 등 여객이용시설과 항공사 사무실·CIQ(Customs 세관, Immigration 출입국관리, Quarantine 검역) 등 여객이용 관련시설로 기본시설을 구성하고, 2030년께 상용화가 예상되는 도심항공교통(UAM)을 위한 버티포트(Vertiport), 공항 접근교통수단이 집결된 환승센터, 감염병 등 재난특화 스퀘어, 컨벤션·전시·복합문화공간 등 추가소요를 반영해 2060년부터는 53만3000㎡(인천공항의 50.2%)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화물터미널은 예측된 화물수요(2060년 전체화물 199만t)와 화물터미널에 적용하는 시설기준을 반영해 21만1000㎡(인천공항의 67.6%)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 '국가항공정책 대전환' 건의
대구시는 현재의 인천공항 중심의 일극체계 정책이 유사시 대응,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다고 봤다. 이에 인천공항과 중남부권 중추공항인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양극체계 또는 4대 관문공항 체계(인천, 대구, 가덕도, 무안)로 전환하고, 오는 2025년 확정되는 '제4차 항공정책 기본계획' 등 국가항공정책에 반영해줄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
홍준표 시장은 "국가 공항정책의 대전환으로 유사시 대응능력을 높이고 공항이 지방경제의 비즈포트(Biz Port)가 되도록 해 국가의 균형발전을 견인할 수 있도록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최창현 대구/경북 기자 cch@ilyodg.co.kr
-
경북도, 2025 국비예산 역대 최대 11조 8677억 원 확보
온라인 기사 ( 2024.12.10 19:29 )
-
광역철도 대경선(구미~경산) 개통…"대구·경북 하나로 잇다"
온라인 기사 ( 2024.12.13 12:01 )
-
대구시, 2년 연속 국비 8조 원대 달성
온라인 기사 ( 2024.12.10 19: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