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증가하는데 비업무용 자산 매각 번번이 유찰…역할 재정립 주문 속 석탄공사 “사업 구조조정 집중”
#몽골 탄광 매각 추진할지 관심
최근 석탄공사는 ‘몽골 훗고르 샤나가 탄광 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용역을 실시해 탄광 지분 가치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받았다. 해당 내용을 추후 지분 매각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석탄공사 측의 설명이다. 석탄공사 한 관계자는 “매각 추진이 결정되면 공개 매각 절차를 통해 진행하게 된다. (매각이) 확정된 건 아니지만 한두 달 정도 논의가 필요하다. 다시 탄광을 운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27일 열린 석탄공사 이사회에서 임원들은 “용역결과를 반영해 몽골 사업의 출구전략을 마련한다”는 결론을 냈다.
2010년 석탄공사와 엔알디(현 비엘팜텍), 선진유한회사는 특수목적법인(SPC) ‘한몽에너지개발’을 설립하고, 몽골 훗고르 샤나가 유연탄광 지분 51%를 매입해 운영해왔다. 2021년 기준 석탄공사의 한몽에너지개발 지분율은 63%다. 2021년 석탄공사의 ‘몽골 탄광개발 사업 운영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석탄공사가 몽골 탄광에 투입한 금액은 260억 원이 넘었다. 석탄공사는 2010년 인수 당시 채굴매장량 7600만 톤(t), 평균 22.9%의 영업이익률로 2015년에는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훗고르 탄광의 생산과 판매가 부진했고, 석탄공사가 회수한 투자금은 없다. 훗고르 탄광은 2016년부터 휴광 중이다.
한몽에너지개발과 몽골 훗고르 샤나가 재무 상황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석탄공사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한몽에너지개발의 자산은 13억 원, 부채는 486억 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2020년보다 자산은 12억 원 줄고, 부채는 38억 원 늘었다. 당기순손실은 2020년 마이너스(-) 31억 원에서 2021년 –51억 원으로 증가했다. 훗고르 샤나가의 2021년 자산은 33억 원, 부채는 209억 원으로 2020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손실은 –9억 9183만 원에서 –10억 3661만 원으로 늘었다.
당장 지분을 매각해 본전을 찾는다 하더라도 석탄공사 재무 개선에는 큰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석탄공사로서는 한시가 급한 상황이다. 빚이 쌓이고 있어서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석탄공사의 부채는 2018년 1조 8207억 원, 2019년 1조 9813억 원, 2020년 2조 1010억 원, 2021년 2조 2628억 원, 지난해 상반기 2조 4359억 원으로 매년 부채가 늘어나고 있다. 자산은 2018년 8056억 원에서 지난해 상반기 1조 975억 원으로 늘어났으나, 부채 규모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또 자산이 늘어난 데는 석탄판매 급감에 따른 재고자산 영향이 크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석탄공사의 단기차입금과 유동성장기차입금 등 유동금융부채는 1조 1400억 원, 장기차입금은 1조 2000억 원 규모에 달한다.
몽골 탄광 매각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전 세계적으로 탈석탄 흐름이 이어지고 있어 석탄에 대한 미래 가치가 낮아 매수자가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실제 석탄공사는 과거 해외 투자펀드 및 업체를 대상으로 몽골 탄광 지분매각을 진행했지만 성사되지는 않았다.
에너지업계 한 관계자는 “향후 탄소세 부과와 배출권 거래제가 활발하게 이뤄지면 석탄 가격이 높아져 석탄의 유일한 장점이 사라진다. 지난해 에너지 위기로 석탄이 반짝 주목을 받기는 했다. 그러나 유럽도 2030년까지 탈석탄이 목표인 상황에서, 해외 석탄 광산 등 석탄 설비들이 지금 높은 가격으로 거래될 것 같지는 않다”고 내다봤다.
한몽에너지개발 지분을 보유한 다른 기업과도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아직 석탄공사가 실시한 지분 가치 평가 결과가 다른 기업에는 공유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비엘팜텍 관계자는 “지분에 대한 가치 평가 결과 투자금액 이상을 회수할 수 있다고 나타난다면, 매각에 동참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다만 몽골 탄광 가치 평가 내용에 대한 공유는 아직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36개 토지 매각 공고에 30곳 유찰
최근 석탄공사는 정부의 공공기관 자산효율화 계획에 따라 자산 매각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지만, 처분이 쉽지 않은 모습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 전자자산처분시스템(온비드)에 따르면, 석탄공사는 지난해 11월에만 36개의 토지 매각 공고를 냈다. 석탄공사가 입찰 공고를 낸 토지의 지목은 임야, 도로, 대지 등으로 다양하다. 그러나 6곳을 제외한 30곳이 모두 입찰자를 찾지 못해 유찰된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공사는 ‘몸집 줄이기’에도 적극적이다. 정부의 공공기관 정원 감축 계획과 같은 맥락이다. 지난해 11월 석탄공사 이사회 회의록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석탄공사는 석탄 1만 1299t을 추가 감산하고, 201명 내외를 추가 감원하기로 감산‧감원 계획을 변경했다. 당초 지난해 7월 정부승인을 받은 감산량(6만 6900t)과 감원 인력(161명)보다 늘어난 수치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2025년까지 350개 공공기관 전체 정원의 2.8%(1만 2442명)를 줄이기로 했는데, 석탄공사가 정부에 제출한 감축 인원은 139명이다. 석탄공사의 정원 대비 감축률은 21.2%로 공공기관 중 코레일로지스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연탄 수요가 줄면서 매년 석탄 생산량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석탄공사의 향후 역할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석탄공사의 앞날이 밝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석탄을 에너지 믹스에서 완전히 배제하는 것도 시기상조인 듯하다. 석탄공사의 기능 중 에너지 안보를 고려해 존속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정책적인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석탄공사 스스로도 탄소중립 시대에 맞게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석탄공사도 신규 산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은 사업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크다. 지난해 8월 기획재정부의 공기업 경영평가단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2021년도 공기업 경영실적 평가보고서’를 통해 “(석탄공사가) 신규 사업 및 미래예측 기반 대체산업 발굴 노력이 미흡하다는 전년도 경영평가 지적에 대해, 이산화탄소포집 저장 연구개발(R&D) 사업, 무연탄가스화 수소 생산사업, 경석재활용 에너지 회수사업, 산림뉴딜(산림 바이오매스) 전환 등 대체산업 발굴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들은 기관의 자체적인 노력만으로 이뤄지기는 어렵고 성공 가능성도 불확실하다. 전문 R&D 기관과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석탄공사 다른 관계자는 “부채를 조금이라도 줄여보려는 노력으로 자산 중 비업무용 자산에 대해 계속 매각을 하고 있다. 인력 감축 등 사업 구조조정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명선 기자 seon@ilyo.co.kr
-
특혜 채용 있었나? 김용현 전 장관 이수페타시스 근무 이력 주목
온라인 기사 ( 2024.12.11 14:12 )
-
매각대금으로 활로 찾을까…금호건설의 아시아나항공 처분 시점 주목 까닭
온라인 기사 ( 2024.12.10 16:18 )
-
비상계엄 불똥, 부동산에도 옮겨붙나…장기 침체 전망에 무게 실리는 까닭
온라인 기사 ( 2024.12.06 16: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