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신축회관 건물 전경. 박은숙 기자
하지만 최근에는 전경련이 입주를 앞두고 풍수가의 조언에 따라 회장실의 위치를 당초 여의도광장 쪽에서 뒤편 광장아파트 쪽으로 바꿨다는 이야기가 나돌고 있다. 정문 위치도 같은 방향으로 바꾼 바 있다(<일요신문> 1125호 보도). 이에 대해 전경련 관계자는 “건축업계의 관습에 따라 입주일을 ‘손 없는 날’로 정하려 물어본 것은 사실이지만, 인테리어 부분은 공간 활용을 고려해 결정했다”며 ‘풍수설’을 부인했다.
신축 FKI타워 건축비용을 전액 프로젝트파이낸싱(FP)으로 조달했다. 상호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을 나누긴 하지만 은행에서 건물을 담보로 돈을 빌려 지었다는 얘기다. 현재 이 건물의 입주율은 50%에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건설비는 4000억 원으로 예상됐는데, 그보다는 적게 들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전경련은 내년까지 입주율 80%를 달성할 경우, 금리가 내려 이자비용이 줄어든 만큼 15년 대출금 상환 기간도 10년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변에선 “여의도 내 대형 빌딩들의 공실률을 감안하면 전경련이 입주율 목표는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회원사들의 회비로 운영돼온 전경련이 자체 임대수입으로 사업예산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 독립적인 운영체제를 갖추겠다는 복안에 따라 회관신축이 진행돼왔다”면서 “하지만 자칫 임대시장 상황에 따라 전경련이 주요 회원사들에게 더 큰 짐을 지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경련 발전방안에 대해서도 곱지 않은 시선들이 적지 않다. 전경련은 지난 11월 회장단회의에서 산하 발전특위에서 논의된 개편안을 추진키로 했다. 가장 중요한 변화는 ‘대기업 대변단체’라는 꼬리표를 떼겠다는 것이다. 전경련은 “국가경제 비전, 경제 현안에 대한 선도적 대안 제시를 통해 신뢰받는 경제단체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회원사 확대 방침을 알렸다. 현재 제조업 위주인 전경련 회원사를 서비스·IT업종 등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전경련 박찬호 전무는 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대기업, 제조업 중심의 단체에서 외연을 넓혀 중견기업, 서비스 업종 기업 및 단체 등으로 회원의 범위를 넓히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터넷 기업 NHN(네이버), 법률사무소 김앤장, 게임업체 NC소프트·넥슨 등의 이름이 아이디어 차원에서 거론되고 있다. 현재 21명인 회장단도 확충하기로 했다. 경영 위기 등으로 이미 부회장직 사퇴 의사를 밝힌 강덕수 STX그룹 회장 등을 대신해 내년 2월 정기총회 때 새로운 부회장을 영입하고, 회장단 수도 현재보다 더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이 같은 조직 위상 변화와 확대 명분이 약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회장단 확충은 사실 대기업 회장들의 잇따른 구속과 검찰 수사로 초래된 ‘반쪽 회장단’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구책이다. 지난 11월 올해 마지막 회장단 회의에도 허창수 전경련 회장(GS그룹 회장) 등 단 7명만 참석했다. 전체 회장단 21명 중 3분의 2가 빠진 ‘3분의 1쪽짜리’ 회의가 된 것이다.
단순히 중견기업 등을 참여시키고, 회장단을 늘리는 방법만으로 경제단체로서 진정한 성격 변화가 가능하겠느냐는 지적도 많다. 전경련이 영입을 추진 중인 기업들은 대중소기업들의 모임인 대한상공회의소, 무역업계 대표단체인 한국무역협회의 회원사들일 수도 있기에 자칫 경제단체 간 회원사 유치 경쟁을 벌인다는 비난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전경련이 민간 종합경제단체의 위상을 가질 경우 대한상의나 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과 무슨 차별성이 있느냐는 반박도 제기될 수 있다.
다른 경제단체 관계자는 “전경련은 신축 회관이나 회원 확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본래의 설립취지에 맞는 위상과 정체성 정립이 더 시급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많다”고 꼬집었다.
박웅채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