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네이버 엠파스 등 포털 3사의 뉴스 페이지(위부터). 최근 국회에서는 포털을 언론으로 보고 규제하는 신문법 개정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물론 포털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 ||
#사례 하나
“요즘 아무개 기자는 ‘포털놀이’에 정신 없더라.”
“말이 좋아 ‘놀이’지, 이젠 조회수가 무슨 성적표인 모양이다.”
간혹 기자들 사이에서 오가는 얘기다. ‘포털놀이’란 자신이 쓴 기사가 포털에서 얼마나 많은 조회수를 올리느냐에 집중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선 포털 메인 화면에 오르는 게 필수적이다. 따라서 포털사이트가 선호하는 제목과 내용의 기사를 생산해야 한다. 언론사 편집 방향보다 포털사이트의 편집방향에 더 부합되는 기사 생산이 중요해진 것이다.
#사례 둘
“이건 정말 의미 있는 기사다 싶었는데 구석에 박혀버렸네요.”
“‘의미’보다는 ‘눈요기’가 화제가 되는 세상에서 민감한 기사를 쓴 네가 잘못이다.”
최근 포털의 메인 화면 뉴스 채택 방식에 상당한 변화가 엿보인다. 민감한 내용으로 반향이 큰 기사를 메인 화면에 올리면 당연히 많은 조회수를 기록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기사에 대한 항의가 언론사뿐만 아니라 포털에까지 이어지자 민감한 기사를 메인 화면에 올리는 사례가 급감했다. 이렇게 민감한 기사가 후미로 밀린 사이 눈요기 거리 기사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이 같은 두 가지 사례는 비대해진 포털의 편집권에 대한 현직 기자들의 반응이다. 인터넷 사이트 조회 현황을 집계한 각종 자료들을 살펴보면 인터넷에서 뉴스를 소비하는 이용자 가운데 90% 이상이 포털을 이용한다. 이렇게 뉴스 이용자가 포털에 집중되다 보니 현직 기자들 역시 소속 언론사의 지면이나 사이트보다 포털의 편집방향에 민감해져 가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취재 대상이나 뉴스 이용자 입장에서도 비슷하게 느끼는 사안이다. 예를 들어 연예인 열애설을 다룬 기사 가운데 열애설 자체를 다룬 기사와 열애설을 부인하는 기사 가운데 어느 게 메인 화면에 가느냐에 따라 해당 연예인과 네티즌들의 반응이 상반되기 마련이다. 특히 여론에 민감한 정치권 입장에서는 같은 사안을 서로 다른 시각에서 접근한 다양한 기사 가운데 어느 기사가 메인 화면에 가느냐에 따라 희비가 교차하기 마련이다. 이런 이유로 “2007년 대선은 포털이 좌우한다”는 얘기까지 나돌고 있다.
결국 국회에서도 이 문제가 화두로 떠올랐다. 한나라당 심재철 의원은 포털의 자의적 기사 편집 및 조회수 조작을 규제하는 신문법 개정안을 제출했고, 민주당 이승희 의원은 포털을 인터넷신문, 다시 말해 언론으로 규정하는 신문법 개정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한나라당 박찬숙 의원 열린우리당 노웅래 의원 등이 포털과 관련해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발의했고 한나라당 권영세 의원도 신문법 개정안 제출을 검토 중이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포털업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포털을 언론으로 규정해 초기 화면의 50%를 뉴스로 채우는 개정안이 제출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에 대해 “네티즌이 직접 자신만의 포털 초기화면을 꾸미는 서비스가 상용화된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법안”이라 주장한다. 또한 ‘임의적 제목변경’에 대해선 오히려 언론사가 뽑은 선정적인 제목을 포털이 이를 순화시키는 사례도 많다고 항변한다.
이처럼 뉴스서비스를 둘러싼 포털 규제론을 두고 팽팽한 줄다리기가 진행되고 있다. 뉴스 서비스의 사회적인 영향력에 대해서는 포털 업계 역시 “고민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뉴스 소비자가 포털로 집중되고 있는 현실만큼은 양측이 서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 만큼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절실해 보인다.
신민섭 기자 leady@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