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유니콤과 합작기업 설립 추진 두고 음모론 대두…최대주주 나스퍼스 측 지분 매각설 부인
10월 27일 중국 국가시장감독총국은 15건의 투자 거래 승인을 발표했다. 이 중 단연 화제를 모은 것은 텐센트산업투자와 롄퉁창투가 신청한 합작기업 신설 건이었다. 텐센트산업투자와 롄퉁창투는 각각 텐센트와 차이나유니콤 자회사다. 차이나유니콤은 국영 통신 사업자다.
공시에 따르면 롄퉁창투는 2014년 4월 베이징에서 출범했다. 주요 사업은 투자다. 모기업은 차이나유니콤이다. 2019년 9월 설립된 텐센트산업투자는 광둥성에서 시작했다. 주요 사업은 투자 및 컨설팅이다. 민간기업 텐센트와 국영기업 차이나유니콤이 새롭게 만들 합작기업은 화상회의, 영상, 스트리밍, 클라우드 관련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점쳐진다. 합작기업 추진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번 협력은 텐센트와 차이나유니콤이 갖고 있는 클라우드 기술 협력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각 회사가 갖고 있는 기존 사업 일부를 떼어내는 방식이 아니라 아예 새로운 회사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텐센트와 차이나유니콤은 여러 분야에서 협력을 해왔다. 2018년 ‘5G 공동 혁신 실험실’을 설립해 지금까지 운영 중이다. 2019년엔 ‘5G e-스포츠 공동 실험실’도 설립했다. 2021년엔 ‘중국 스마트 문화관광 5G 응용 백서’를 공동 발표하기도 했다.
업계에선 ‘윈-윈’이라며 긍정적인 분위기다. 업계 한 관계자는 “통신 사업자인 차이나유니콤은 텐센트와의 협업을 통해 인프라를 확충하고 통신요금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텐센트 역시 서비스 구매 협상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체 클라우드 컴퓨팅 능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인터넷 상에선 음모론이 고개를 들었다. 국영기업인 유니콤사업자를 통해 텐센트를 장악하려 한다는 내용이다. 위챗을 갖고 있는 텐센트는 막대한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당국으로선 위협을 느낄 만한 수준이다.
당국은 그동안 텐센트에 대한 감독·규제를 강화해왔다. 텐센트는 올해 초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450만 위안(9억 원)의 과징금을 물었다. 텐센트 창업주 마화텅은 지난해 연말 사내 연설에서 “텐센트는 정부 입장에서 얼마든지 대체될 수 있는 평범한 회사”라며 “어떠한 선도 넘지 말고 정부의 조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텐센트와 차이나유니콤의 합작기업 신청 승인이 10월 22일 제20차 전국대표대회 직후 이뤄졌다는 점도 눈길을 모은다. 이번 전대에서 시진핑 주석은 3연임을 확정지었다. 민간기업 텐센트는 ‘시진핑 체제’의 위협 요소로 거론돼왔다.
합작기업 승인 후 증권가에서 제기된 소문도 당국의 텐센트 통제에 불을 붙였다. 소문의 골자는 텐센트 최대주주가 차이나유니콤 측에 지분 전량을 순차적으로 매각하는 계획을 세웠다는 것이었다. 한 외국 경제지는 이를 언론에까지 소개하며 주목했다.
텐센트 최대주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위치한 나스퍼스그룹이다. 나스퍼스의 텐센트 지분은 28.8%다. 11월 1일 나스퍼스 측은 텐센트 지분 매각설을 부인했다. 나스퍼스 측은 “텐센트가 장기적으로 성장할 것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차이나유니콤과 텐센트에서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 본사를 둔 다국적 미디어그룹 나스퍼스는 2001년 불과 3200만 달러(455억 원)에 텐센트 지분 46.5%를 사들였다. 그 후 텐센트 상장, 지분 매각 등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 지분은 28.8%로 떨어졌다. 증권시보에 따르면 나스퍼스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은 배당만 받을 수 있을 뿐 의결권은 없다고 한다. 텐센트는 여전히 창업주 마화텅의 통제 아래에 있다는 뜻이다.
현재 텐센트 시가총액은 2조 430억 위안(397조 원)가량이다. 전통주 ‘마오타이’를 생산하는 구이저우마오타이와 시총 1위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는 상황이다. 나스퍼스의 지분 가치액은 5550억 위안(108조 원)가량으로 추산된다.
관련 회사들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이번 합작기업 승인 이후 텐센트의 국유화 가능성은 인터넷과 SNS 등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한 IT 전문 블로거는 “텐센트는 외국인이 대주주지만 중국인 창업주가 운영하는 민간기업”이라면서 “외국인이 차이나유니콤에 지분을 매각할 경우 국유자본이 대주주로 올라설 것이다. 현재의 경영체제는 무너질 수 있다”고 했다.
텐센트 국유화 소문에 대한 반응은 엇갈린다. 위챗이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만큼 민간기업보다는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는 게 나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기도 하지만 대부분 부정적이다. 한 누리꾼은 익명으로 올린 글에서 “정부가 텐센트를 노리고 있다는 말은 끊이지 않았다. 텐센트가 보유한 개인 정보들을 손에 넣기 위해서다. 시진핑 1인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장치로 쓸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배경화 언론인
-
“양측 모두에 파멸” 중동 화약고 이란-이스라엘 전면전 시나리오
온라인 기사 ( 2024.10.04 18:29 )
-
“기시다와 밤늦도록 음주, 김건희가 말려” 일본 언론 ‘계엄 윤석열’ 재조명
온라인 기사 ( 2024.12.05 11:29 )
-
“간섭하지 마세요” 일본 대표 천재 ‘오타니·후지이’ 부모의 공통점
온라인 기사 ( 2024.11.07 13: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