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UTC 주가조작 혐의에 대해 검찰이 이미 2년 전에 인지하고 있었다는 점이 논란을 낳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지난 2006년 7월 이번 주가조작 관련 내용의 고발장을 금감원이 검찰에 제출했다고 한다. 금감원 고발 이후 2년이 지난 후에야 검찰의 압수수색이 진행된 배경에 의문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검찰은 “다른 사건 처리 때문에 미뤄져 왔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임 회장이 과거 ‘봐주기 수사’ 논란의 한가운데에 선 전력과 맞물려 지지부진했던 이번 수사진행에 대한 입방아가 커지고 있다. 임 회장은 지난 2003년 비자금 조성 관련 조사를 받았는데 당시 검찰은 대상그룹 직원들만 기소하고 임 회장에 대해서는 참고인 중지 처분을 내렸다.
그러나 법원이 임 회장 공모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재수사가 진행됐다. 결국 임 회장은 지난 2005년 구속기소돼 1년 7개월간 복역을 했다. 당시 임 회장 수사 관련 논란에 대해 대상그룹이 노무현 정부하의 호남을 대표하는 기업이라는 점과 더불어 삼성 사돈기업이라는 점이 검찰에 적잖은 부담을 줬을 가능성이 대두되기도 했다.
금조1부는 박중원 씨 구속기소에 이어 최근 고 정주영 명예회장의 손자인 정일선 BNG스틸 대표를 소환해 증권거래법 위반 혐의 관련 조사를 벌였다. 조만간 정 대표와 함께 주가조작 의혹을 받고 있는 조 부사장과 김영집 씨도 소환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의 재벌가 인사 주가조작 사건에서 가장 많은 시선을 끄는 부분은 조현범 부사장 관련 내용이다. 일각에선 검찰이 조 부사장 내사 사실을 쉬쉬해오다 공개한 것이 ‘의혹 확산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기도 한다. 공공연한 비밀이었던 조 부사장 내사에 대한 함구가 오히려 조 부사장이 대통령의 사위라는 점과 맞물려 더 큰 의혹으로 확대 재생산될 기미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가 조 부사장 내사와 관련, “사위를 믿는다”고 말한 것이 야당으로부터 ‘검찰 수사 가이드라인 제시 아니냐’는 공격을 받은 바 있다. 일각에선 재벌가 인사 주가조작 사건으로 정신없을 검찰이 2년 만에 꺼내든 UTC 수사에 역량을 퍼붓는 과정에서 자칫 조 부사장 내사가 한발 밀려날 수도 있다는 관측을 조심스레 내놓고 있다.
천우진 기자 wjcun@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