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억 명이 사는 지구, 이 지구에서 한 해 만들어지는 옷은 1000억 벌에 이른다. 그리고 그 중 약 33%인 330억 벌이 같은 해에 버려진다. 실제 한 명이 1년에 버리는 옷의 양은 30kg 정도다. 내가 무심코 버린 옷 한 벌이 대량으로 쌓여 소각되거나 수출되고 있다.
수출업체 유종상 대표는 하루 약 40t의 헌 옷이 들어온다고 말한다. 이렇게 버려진 옷들은 가나, 방글라데시와 같은 개발도상국으로 수출되고 수출된 대부분의 옷은 썩지 않고 남아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킨다.
드넓은 초원에서 풀을 뜯어 먹어야 할 소들이 버려진 폐섬유를 먹고 식수로 사용되던 아프리카 가나의 오다우강은 병을 일으키는 오염된 강이 되었다. 우리가 쉽게 접하는 여러 패션 브랜드 옷의 배후엔 값싼 노동력으로 착취당하는 사람들의 손길이 묻어있다.
'막연히 누군가 입겠지'하며 헌 옷을 수거함에 넣곤 하는 우리. 그렇다면 이 옷의 대부분이 페트병과 같은 원료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폐페트병 80% 이상이 재활용되는 데 반해 많은 옷은 썩지 않고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우리 곁에 돌아온다.
현대인들의 취향에 발맞춰 빠르게 생산되고 소비되는 울트라 패스트패션 시대. 환경을 생각하고, 진정한 멋을 추구하기 위해서 우리는 옷을 어떻게 소비해야 할까. 옷에 관한 진실을 방송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수출업체 유종상 대표는 매일 약 40t의 옷들이 창고에 들어온다고 말한다. 이런 업체가 우리나라에만 100여 곳. 하루에 수출업체에 들어오는 헌 옷이 약 4,000t이라는 이야기다.
이 중 80%는 수출되고 15%는 쓰레기로 분류되며 나머지 5%만이 빈티지 의류로 유통되고 있는 현실. 이렇듯 아직 우리나라에서 옷 폐기물을 처리할 마땅한 방안은 없다. 아름다움을 위해 만들어지는 옷. 그 옷이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를 책임지는 한강. 그 하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다량 검출되었다. 그 중 미세섬유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 많은 미세섬유는 세탁기의 필터조차 걸러내지 못한 미세섬유 입자들이다.
서울시립대 김현욱 교수는 세탁액에서 나온 미세섬유가 결국, 우리의 식수가 되고 더 나아가 먼바다까지 이동한다고 말한다. 이처럼 우리는 폐플라스틱의 환경파괴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옷의 환경 위해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이를 해결할 방안은 없는 것일까.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폐페트병의 80% 이상은 이미 재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몇몇 의류업체들이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의류 생산을 선언하며 친환경 기업의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런 리사이클 자원 과정은 과연 친환경적일까. 청바지 한 벌을 만들기 위해 배출되는 탄소의 양은 상상을 초월한다. 흰 티 하나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물은 약 3,781리터. 이는 한 사람이 3년간 마실 물의 양이다. 많은 의류 브랜드들은 리사이클 소재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소비자로 하여금 자신들의 옷이 친환경에 가깝다고 착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패션 기업들의 적정한 생산이 환경문제를 해결할 최우선 과제라고 말한다.
이민재 기자 ilyoon@ilyo.co.kr
-
"그분이 오신다" 남궁민 등판 소식에 금토드라마 시장 술렁
온라인 기사 ( 2024.10.31 15:19 )
-
‘1등만 기억하는 세상은 지났다’ 대중은 왜 에드워드 리 셰프에게 매료됐나
온라인 기사 ( 2024.10.18 18:03 )
-
‘영상 퀄리티 엄청나다’…‘흑백요리사' 스타 ‘급식대가’, 유튜브 데뷔 화제
온라인 기사 ( 2024.09.26 2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