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대목 노리고 대대적 투자…집합금지 명령 내려도 불법 영업 강행 분위기
정부는 비상계획 발동 카드를 만지작거리기 시작했다. 비상계획 돌입은 사실상 위드 코로나 이전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12월 3일 정부는 6일부터 4주간 사적모임 인원을 수도권은 최대 6명, 비수도권은 8명까지로 제한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다행히 영업시간 제한 등의 조치는 제외됐지만 겨우 숨구멍을 찾은 자영업자들은 여전히 불안해하고 있다. 유흥업계 역시 마찬가지다. 유흥업계에선 현재 상황이 비상계획에 돌입해도 영업을 멈출 수 없는 ‘브레이크가 고장난’ 상태라고 토로한다.
위드 코로나 정책 시행 후 정상적인 흐름이 이어졌다면 12월 13일부터 2단계가 시행됐을 것이다. 현재의 위드 코로나 1단계에서 유흥업소는 24시까지만 영업이 가능하지만 2단계에서는 영업시간 제한이 해제된다. 유흥업소는 1차 술자리를 마친 뒤 찾는 손님이 많아 자정 이후 영업이 중요해 기대감이 컸지만 빨라야 내년 1월 중순에나 가능하게 됐다.
문제는 오미크론 변이 등장과 일일 확진자 급증 등으로 위드 코로나 비상계획이 발동돼 다시 집합금지 명령이 내려질 수도 있다는 우려다. 강남에서 룸살롱을 운영 중인 한 업주는 이렇게 요즘 유흥업계 분위기를 전했다.
“연말 대목에 대한 기대감이 대단했다. 2년 동안 본 피해를 한꺼번에 회복할 수는 없겠지만 숨통은 트일 거라고 기대했다. 문제는 지금 상황에서 갑자기 다시 문을 닫으라고 하는 거다. 주류는 물론이고 과일과 야채 같은 안주용 재료 등 이미 상당한 물건을 들여놨는데 장사를 못하면 버리는 게 많아진다. 돈이 있어 구입한 것도 아니고 다 빚이다. 그냥 망하라는 거다.”
게다가 사회적 거리두기 과정에서 영업을 중단했던 유흥업소 가운데에는 11월 1일부터 위드 코로나 시행으로 영업을 재개할 수 있게 돼 내부 인테리어 등 대대적인 투자를 한 곳도 많다. 오랜 기간 문을 닫아 분위기 변화가 필요했고, 더욱 치열해진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인테리어 공사 등의 투자를 했는데 한두 달 만에 다시 문을 닫게 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명도소송에 휘말린 유흥업소를 인수한 업주들도 있다. 강남 유흥업계 소식에 밝은 한 소식통의 얘기다.
“거듭된 집합금지 명령으로 월세를 제대로 내지 못해 보증금까지 다 까먹고 명도소송을 거쳐 쫓겨난 업주들이 많다. 그런 가게를 인수하면 권리금이나 인테리어 비용 등 초기 투자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대신 건물주에게 주는 비싼 보증금과 월세는 당연히 올라간다. 제대로 영업이 이뤄지면 비싼 월세를 내도 남을 테지만 다시 영업 정지가 이뤄지면 그렇게 들어간 업주들도 다시 명도소송으로 쫓겨나게 된다.”
유흥업소들은 정상 영업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에이스급 접대여성 데려오기 쟁탈전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접대여성들과 그들을 관리하는 마담들의 몸값이 폭등했다. 선수금으로 거액을 주고 데려온 업소들이 많은데 영업이 중단되면 그 돈도 모두 날릴 수 있다.
이런 분위기를 두고 강남 유흥업계에선 ‘이 동네는 브레이크가 고장난 상황’이라고 얘기한다. 비상계획에 돌입해 영업이 다시 중단되더라도 업소들이 멈춰 설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얘기다. 간판 불을 끄고 문을 걸어 잠근 채 불법 영업을 해서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라고 한다.
이미 밤 12시까지로 제한된 영업시간을 어기는 업소들도 많다. 밤 11시 넘어 오는 손님도 다 받는다. 12시가 되면 문을 잠그고 몰래 영업을 하는데 괜찮냐고 양해를 구하며 손님을 받는다. 손님이 머뭇거리면 파격적인 서비스를 제안한다. 다시 문을 닫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에 벌써 불법 영업에 돌입한 셈이다. 집합금지 상황이 또 다시 오기 전, 경찰 단속이 허술해진 지금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더 손님을 받아야 한다는 위기감이 불법 영업을 부추기고 있다.
전동선 프리랜서
-
[단독] 김용현 전 국방장관 "민주당이 내란 수준, 대통령은 자식 없어 나라 걱정뿐"
온라인 기사 ( 2024.12.06 09:13 )
-
그날 밤 출동 계엄군도 처벌받나…내란죄 처벌 적용 범위 살펴보니
온라인 기사 ( 2024.12.06 15:32 )
-
[단독] '김건희 풍자' 유튜버 고소대리…대통령실 출신 변호사, 변호사법 위반 논란
온라인 기사 ( 2024.12.10 1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