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일요신문] 우리 민족에게는 해마다 원단(설날 아침)에 조상에게 제사를 드리는 풍습이 있다. 그렇다면 국가에서도 제사를 지냈을까. 조선시대 때에는 갖가지 나라 제사가 모셔졌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나라 제사 의식은 왕과 문무백관이 종묘에서 왕조의 조상에게 올리는 ‘종묘제례’(宗廟祭禮)였다. 우리나라의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종묘제례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8.01.10 15:34 )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일요신문]지금으로부터 110년 전, 한국(대한제국)에서는 놀랄 만한 국민운동이 벌어졌다. 나라 빚을 갚기 위해 전 국민이 호주머니를 털고 쌈짓돈을 모아 의연금을 냈던 것. 당시 들불처럼 번졌던 국채보상운동의 시작이었다. 세계사에서 유례가 없던 이 구국운동의 역사를 담은 기록물이 지난 10월 하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국채보상운동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12.06 13:01 )
-
조선통신사 기록물
[일요신문] ‘한·일 관계’라는 화두를 던지면,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독도 영유권, 일본군 위안부 문제, 식민지배 등 부정적 이슈를 떠올릴 것이다. 역사의 시침을 훨씬 뒤로 돌린다면 임진왜란, 정유재란 같은 침략전쟁도 이런 인식을 더욱 굳힐 듯하다. 하지만 한·일 양국 사이에는 200여 년이 넘는 평화적 교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11.14 17:44 )
-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오른 택견
[일요신문] ‘택견’의 세계화와 ‘무술의 도시’라는 브랜드 강화를 위해 충주시가 개최한 ‘충주세계무술축제’가 얼마 전 막을 내렸다. 이번 무술축제에서는 세계무술 마스터 클래스와 함께 택견 마스터의 택견 수업 등이 진행돼 수많은 관람객들의 시선을 붙잡았다. 충주세계무술축제를 계기로 우리의 전통무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10.17 18:05 )
-
인류무형문화유산 ‘남사당놀이’
[일요신문]최근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에서 반세기 전 경기도 안성 청룡사에서 촬영된 ‘남사당놀이’ 16mm 아날로그 기록영화 필름을 고화질로 복원한 영상이 공개돼 관심을 끌었다. 우리의 전통 종합예술로서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오른 ‘남사당놀이’. 과연 우리는 남사당놀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10.10 17:51 )
-
화성
[일요신문] 한양을 출발해 수원에 이르는 조선시대 ‘왕의 행차’가 올가을 재현될 예정이다. 9월 하순 수원화성문화제에서 진행될 ‘정조대왕의 능행차’가 바로 그것이다. 220여 년 전 창덕궁을 떠난 정조의 행렬이 최종적으로 향한 곳은 다름 아닌 화성(華城). 지난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화성과 조선의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10.10 17:44 )
-
창덕궁
[일요신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번지’는 청와대의 도로명 주소다. 그렇다면 ‘서울 종로구 율곡로 99번지’는 과연 어떤 건물을 가리키는 주소일까. 바로 조선시대 왕궁인 창덕궁이다. 조선시대 한양의 다섯 궁궐들 중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올라 있는 창덕궁(1997년 등재)의 뒤안길을 한번 살펴보자.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07.13 11:18 )
-
일성록
[일요신문] 탕평정치와 애민사상, 그리고 서얼 차별 폐지 시도 등으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성군이자 개혁군주로 평가 받는 제22대 왕 정조. 그런 그가 매일 매일 ‘반성문’을 썼다고 하면 과연 믿을 수 있을까. 만약 역사적 사실이 궁금하다면 <일성록>을 한번 들여다보자.
‘하루의 반성 기록’이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05.30 17:43 )
-
난중일기
[일요신문] 한국 사람들이 가장 존경하는 역사적 인물로 꼽히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 그가 남긴 <난중일기>는 가치가 빼어난 전쟁 기록물이기도 하지만, 영웅이 아닌 ‘인간 이순신’을 가까이서 들여다볼 수 있는 한 아버지, 한 아들의 일기이기도 하다. 우리에게 가족을 돌아보게 하는 달, 5월을 맞아 ‘효’를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05.04 15:49 )
-
동의보감
[일요신문]얼마 전 열린 대구세계마스터즈 실내육상경기대회에 98세의 영국 ‘선수’가 참가해 화제가 됐다. 그가 육상 종목에 도전을 시작한 건 95세 때였다. 일본의 최고령 시인으로 유명했던 고(故) 시바타 도요 할머니의 경우 90세에 시인으로 데뷔했다. 시침을 과거로 돌려보면, 우리 역사 곳곳에서도 빛나는 ‘노익장&rsquo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04.18 14:57 )
-
아리랑
[일요신문]기네스북에 ‘단일 주제 최장기 집회’로 2002년(당시 500회) 기재돼, 지금도 그 ‘기록’을 경신 중인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집회’. 어느덧 1270회차를 훌쩍 넘긴 이 집회에서 매번 빠짐없이 불리는 우리 가락이 하나 있다. 바로 ‘아리랑&rsqu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03.13 11:16 )
-
승정원일기
[일요신문]세월호 참사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을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만약 조선시대의 기록 문화가 지금까지 이어져왔다면, 어쩌면 이러한 논란은 순식간에 흑백이 가려졌을지도 모른다. 조선은 ‘기록의 왕국’이라 불릴 만큼 다양한 기록물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냈고, 특히 통치자인 왕의 언행에 대해서는 더욱 객관적으로 기록
연재 > 일요캠페인 |
온라인 기사 ( 2017.02.01 11:21 )